earticle

논문검색

교양 학과목 교수방법과 강의평가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eaching Methods And Lecture Evaluation of General Subjects

박완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Methods and Lecture Evaluation in S University. The lectures used in this study were 147 lecture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whole general subject, teaching method of Lecture and Practice was most frequently used. Lecture 100% was most preferred in general required subject. Lecture and Practice was most preferred in optional subject.
Second, in question of Lecture Evaluation, each question and entire score was very
highly related. So, sectional difference of Lecture Evaluation was not clear. Analysis of 11 questions leaded to 1 factor.
Third, about factor that affects Lecture Evaluation – midterm exam, final exam, attendance, report, etc-higher percentage of attendance, average was higher in course evaluation.
Fourth, satisfaction of optional subject was higher that of required subject.
Fifth, according to Lecture Evaluation that depends on Teaching Methods, class size was smaller Lecture Evaluation average was higher in the more lectures.
To make a better level of general subject course, it needs several ways – Lecture/Lecture& Practice/Read a paper&Discussion and propriety number of class person and it needed more study for question of Lecture Evaluation.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S대학에서 개설된 교양 학과목의 교수방법과 강의평가 평점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학과목은 147과목이며, 통계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과목 전체영역에서 강의 및 실습의 교수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교양필수과목은 교수방법 중에서 강의 100%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교양선택과목은 강의 및 실습의 선호도가 높았다. 둘째, 강의평가 문항의 문항별 상관, 각 문항과 전체평점과의 상관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강의평가 문항에서 영역별 구인이 분명히 드러나지 않았다. 11개 문항을 요인분석한 결과 하나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중간·기말고사, 출석, 기타(보고서) 등 평가 비율의 영향력에 있어서, 출석점수의 비울이 높을수록 강의평가의 평균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양선택 영역의 만족도가 교양필수 영역의 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교수방법에 따른 강의평가에 있어서 수강인원이 적을수록 강의평점이 높음을 알 수 있다.
교양교육과정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한데, 강의/강의 및 실습/발표토의 등 다양한 교수방법을 수업에 사용함은 물론, 수강인원의 적절한 고려, 강의평가 및 강의평가의 문항개발에 대한 더 심도있는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목차

국문초록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삼육대학교 교양강좌 운영현황
  Ⅱ.1. 교양과목 편성현황
 Ⅲ. 교양과목 교수방법 연구결과
  Ⅲ.1. 연구대상
  Ⅲ.2.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완성 Park, Wan-Sung. 삼육대학교 교양교직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