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시화호 인공습지의 수질정화기능 향상을 위한 사례연구

원문정보

Cas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in Sihwa Constructed Wetland

최돈혁, 강호, 최광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ree plans(induction of water flow, supply of oxygen into water, control of fish causing resuspension of solids) proposed to improve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of Sihwa Constructed Wetland(CW) were estimated by considering the their efficiency and application to the wetland. After construction of facility for induction of water flow in lower part(W 122m×L 103m) of the wetland, the mean removal efficiencies of BOD, SS, TN and TP were in range of 12.8~37.4% and BOD was showing the highest efficiency. This result indicates that water flows is one of very important factors in the pollutant removal of wetland, especially near the outlet of a large scale wetland such as Sihwa CW. Dissolved oxygen(DO) concentrations after operation of two oxygen supply systems such as Air Bubble Diffuser and Surface Aeration System increased 15.5% and 27.2%, respectively. For maintaining effective DO concentration in Sihwa CW, the operation of oxygen supply system may be desirable during midnight to dawn in the location in which DO concentration is not enough, for instance less than 2 mg/L in CW. In experiments of the fish removal from Sihwa CW, the mean turbidity was lower in test site(6.2 NTU) than control site(10.6). The removal efficiency of thurbidity by th fish removal from the wetland was 41.5%. Therefore, a relevant fish management through a periodical monitoring of fish and turbidity is need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대 인공습지인 시화호 인공습지에서 수질정화기능 향상을 위해 수립된 3개의 방안 (물 흐름 개선방안, 혐기성환경 개선을 위한 산소공급장치 설치방안, 탁도유발 물고기 제어방안)에 대한 효율평가 및 습지의 적용성을 제시하였다. 인공습지 하류구역(가로 122m×세로 103m)에 설치한 물 흐름 유도시설에 의한 BOD, SS, TN, TP의 평균 제거효율은 12.8~37.4%로 나타났으며, BOD가 가장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이는 습지내 물흐름이 수질정화기능 향상에 매우 중요하며, 시화호 인공습지와 같이 규모가 큰 습지의 경우 유출부의 일부 구간에 물 흐름 개선만으로도 습지의 수질정화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산소공급장치 가동 후 DO농도 증가율이 산기식폭기장치에서 15.5%과 표면폭기장치에서 37.2%를 보였고, 습지내 DO 농도가 낮은 구 역에 한하여 새벽시간에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물고기를 포획을 한 실험군과 대조군 의 평균 탁도가 6.2 NTU와 10.6 NTU로 물고기 포획에 의해 41.5%의 탁도 제거효율을 보였다. 습지내 어류현황 과 하류부의 탁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체계적인 어류관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2.1 조사지 개요
  2.2 검증실험
 3. 결과 및 고찰
  3.1 물흐름 유도시설
  3.2 산소공급장치
  3.3 물고기 제어
 4.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돈혁 Don-Hyeok Choi. 정회원ㆍ한국수자원공사 시화호환경환리센터
  • 강호 Ho Kang. 비회원ㆍ충남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최광순 Kwangsoon Choi. 정회원ㆍ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