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졸자의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Structural Model for Graduates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Job Sui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이만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 far the study on college graduates has been concentrated on employment and wages. But if college graduates get a job, this study want expanding to the study of the suitability of their level to the job or the job satisfaction. For this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built up to ver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job sui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of college graduates by using data of ‘2007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To put it concretely, job sui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were analysed based on the leading factors such as vocational value of graduates and the participation of employment supporting program in university. Analyses showed that the vocational valu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job suitability and the job satisfaction as well as the participation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 And the participation of employment supporting program influenced positively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job suitability while in work. Besides we found that the job suitabil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job satisfaction. These confirmed that the vocational value while in school is very important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job suitability and the job satisfaction with their jobs while in work. Also those who have a higher vocational value take part in the various employment supporting programs and experience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job suitability while in work. Therefore we found that the various employment supporting programs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graduates. Accordingly, the school authorities and job centers have to strengthen the value education for the enrolled student to plant a vocational value and improve and reinforce the employment supporting program in university.

한국어

지금까지 대졸자에 대한 연구는 대졸자의 취업, 임금 등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 나 본 연구에서는 대졸자가 취업을 하였다면 과연 자신의 수준에 맞는 일자리를 얻게 되었는지 아니면 현재 자신의 직무에는 만족하는 지에 대한 연구로 확장하고 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2007년도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데이터 를 사용하여 대졸자의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졸자의 직업가치관, 대학 취업지원프 로그램 참여를 선행요인으로 하여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직업가치관은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 으며,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리고 대학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취업 시 직무만족과 일자리적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밖에 일자리적합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로서 대졸자가 재학 시 갖는 직업에 대한 가치관이 매우 중요하며 취업 시에 일자리적합이나 직무만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 가치 관이 높은 사람은 대학의 각종 취업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고 취업 후 일자리 적합이나 직무만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의 각종 취업지원프로그램이 대 졸자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 당국과 고용센터 등에서는 대학생들에게 직업 가치관을 심어 줄 수 있도록 가치관교육을 강화하여 야 하며 대학의 취업지원프로그램을 개선하고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직업가치관
  2.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
  3. 일자리적합
  4. 직무만족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가설
  2. 분석대상 및 측정도구
  3. 자료분석 방법
 Ⅳ. 분석결과
  1. 표본의 특성
  2. 타당성 및 신뢰성분석
  3. 전체모형에 대한 실증적 분석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만기 Lee, Man-Ki. 한국고용정보원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