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체력관리 : 원저

웨이트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대학생의 기초체력 및 기능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Weight Training and Plyometric Training for Fitness and Functional Stability on Collegiates Male

최승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INESIOLOGY, 2011, 13(1): 63-73. Effects of Weight training and Plyometric training for Fitness and Functional Stability on Collegiates Male. [INTRODUCTION] This study is provided of weight training and plyometric training performance to fitness, functional stability with compare as well as is improved of exercise ability with training methods and goal-establishing in basical data. [METHOD] Subjects 14 Collegiates divided in two group(weight Training group: 7, plyometric Training group: 7) in this study. All subjects measured fitness(sit-up, sargent jump, side jump, body reaction time, trunk flexion) and functional stability(anterior/posterior, medial/lateral static & dynamic balance). [RESULT] Sargent jump and body reaction time were significant. anterior/posterior static and dynamic balance were not significant. medial/lateral static and dynamic balance for right were significant. and left dynamic was significant. [CONCLUSION] Weight & plyometric training had effect to low-leg muscle of coordination according to fitness improvement and equilibrium sensory function maintain to balance ability. muscle strength on propriety-level stimulation considered it as muscle strength of improvement in correlational relation.

한국어

운동학 학술지, 2011, 13(1): 63-73. 웨이트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대학생의 기초체력 및 기능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서론] 이 연구는 대학생의 웨이트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을 실시하였을 때 기초체력, 기능적 안정성을 비교하여, 일반인들의 운동능력 개선을 위한 트레이닝 방법 및 목표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일반 남학생들을 무선 표집하여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웨이트 트레이닝 그룹: 7명, 플라이오메트릭 그룹: 7명), 측정항목은 기초체력측정(윗몸일으키기, 서전트점프, 사이드스텝, 전신반응, 체전굴)과 기능적 안정성측정(전/후, 내/외 정적, 동적 발란스)을 실시하였다. [결과] 기초체력에서는 서전트점프, 전신반응측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나타났으며, 기능적 안정성에서는 전/후 오른쪽, 왼쪽(정적, 동적)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고, 내/외 오른쪽(정적, 동적), 왼쪽 (동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결론] 웨이트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하지근육의 협응력을 통한체력증진과 신경감각정보 등을 적절하게 유지 반응하게 함으로써, 균형능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또한 근력에 적정 수준의 자극을 주어 근력 향상에도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초록
 서론
 연구 방법
  연구대상
  측정변인
  운동프로그램
  자료처리방법
 결과
  기초체력 측정결과
  기능적 안정성 측정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승헌 Choi, Seung-Heon. 경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