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日本語學

日韓両言語の確認要求表現 「-だろう」ㆍ「-ではないか」と「-지」ㆍ「-잖」の対照研究 -副詞との共起関係を中心に-

원문정보

A comparison of confirmation expressions in Korean and Japanese: 「-だろう」·「-ではないか」and 「-지」·「-잖」 Focusing on concurrence relationships with the adverb

일한량언어の확인요구표현 「-だろう」ㆍ「-ではないか」と「-지」ㆍ「-잖」の대조연구 -부사との공기관계を중심に-

金秀榮, 安秉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ncurrence relationships of adverbs based on 「だろう」·「ではないか」and「-지」·「-잖」that were used in TV shows in Korea and Japan. First, when adverbs 「たぶん、おそらく、きっと」are used in a case where the speaker confirms their uncertain judgment to the listener, then they are concurrent with both「だろう」and「ではないか」, and 「だろう」is concurrent with last of the adverbs except 「ひょっとしたら」. Korean adverbs that correspond to Japanese ones, only rarely concur with「-잖」, but 「-지」can be concurrent with「아마, 설마, 혹시」. Second, the adverb 「どうせ」and the Korean adverb that corresponds 「어차피」can be concurrent when the speaker is confirming their uncertain judgment to a listener; however, they do not concur with 「ではないか」·「-잖」. When it asks a listener to have the same cognition as the speaker, the Japanese adverb 「どうせ」is concurrent with both 「だろう」 and 「ではないか」; however, the Korean adverb 「어차피」 is only concurrent with 「-잖」. Third, when it asks a listener to have the same cognition as the speaker, the adverb 「けっきょく」and the Korean adverb that corresponds to it, 「결국」 are not concurrent with「だろう」·「-지」; however, they are concurrent with「ではないか」·「-잖」. Fourth, the adverb 「あきらかに」 is only concurrent with 「ではないか」when it asks a listener to have the same cognition as the speaker; however, the Korean adverb 「분명히」that corresponds to it can be concurrent with both 「-지」and「-잖」.

한국어

본 연구는 일한 양국에서 방송된 TV드라마에서 사용된 확인요구표현 「だろう」·「ではないか」와 「-지」·「-잖」을 대상으로 부사의 공기관계에 대한 유사점과 상이점을 조사했다. 첫째, 부사「たぶん、おそらく、きっと」는 화자의 불확실한 판단을 청자에게 확인하는 경우,「だろう」와 「ではないか」 양쪽 다 공기가 가능하고, 「だろう」는 「ひょっとしたら」를 제외한 나머지 부사와 공기가 가능하다. 일본어에 대응하는 한국어 부사는 「-잖」과는 거의 공기하지 않고, 「-지」는 「아마, 설마, 혹시」와 공기가 가능하다. 둘째, 부사「どうせ」와 이것에 대응하는 한국어 부사 「어차피」는 화자의 불확실한 판단을 청자에게 확인하는 경우, 「だろう」·「-지」와 공기 가능하지만 「ではないか」·「-잖」과는 공기하지 않는다. 청자에게 화자와 같은 인식을 가지도록 요구하는 경우, 일본어 부사 「どうせ」는 「だろう」와 「ではないか」 양쪽 다 공기가 가능하지만, 한국어 부사 「어차피」는 「-잖」만이 공기가 가능하다. 셋째, 부사 「けっきょく」와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 부사 「결국」은 청자에게 화자와 같은 인식을 가지도록 요구하는 경우, 「だろう」·「-지」와는 공기하지 않지만 「ではないか」·「-잖」과는 공기가 가능하다. 넷째 부사 「あきらかに」는 청자에게 화자와 같은 인식을 가지도록 요구하는 경우, 「ではないか」만이 공기가 가능하지만, 이것에 대응하는 한국어 부사「분명히」는「 -지」와 「-잖」 양쪽 다 공기가 가능하다.

목차

Ⅰ. はじめに
 Ⅱ. 先行研究
 Ⅲ. 「-だろう」ㆍ「-ではないか」と「-지」·「-잖」と副詞との共起関係
 Ⅳ. まとめ
 参考文献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金秀榮 김수영. 慶尚大学校 大學院 博士課程, 日本語學
  • 安秉坤 안병곤. 慶尚大学校 教授, 日本語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