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日本語學

受動文の動作主表示「に」の一考察

원문정보

A study of 「に」 in Japanese passive sentences

수동문の동작주표시「に」の일고찰

金美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Japanese passive expressions has been studied in various ways. But in this article, rather than considering the Japanese passive only in the concept of 'active vs. passive voice', I also included the concept of 'action vs. state'. In this regard, you can divide passive verbs into two groups. One is actional passives and the other is stative passives. The「に」-attached nouns in passive sentences is often regarded as the agent of the action. This article is trying to show the use of 「に」in relation with the passive verbs attached afterwards, the subj is's animateness, and the agent's animateness in Japanese passive sentences. Although it is not mainly considered in this article, the「に」shows up in indirect passive sentences and also in direct passive sentences. As mentioned in previous researches,「に」is mainly used in depicting sentences but it is also used in sentences including Japanese verbs that mentions changing in states, attitudes of the agent, contacts between the agent and the patient or agent's will. In the case of the subject's animateness, the animate subject hold 81% and the inanimate subject hold 19% in the frequency of its use. In the case of the agent's animateness, the animate agent takes 72%, while the inanimate agent takes 28%. As you can see,「に」is more frequently used in the animate cases whether it is subject or agent. Therefore, according to Hosokawa Yukiko's theory (1986), 「に」has predominant character as actional passive. However, you cannot just neglect inanimate cases. Because it has quite considerable percentage of 19% in subjects and 28% in agents. This phenomenon comes from the fact that「に」, which is the indication of the agent in the passive sentence, may also have the character of stative passive. Moreover, the inanimate agent is used as some kind of a cause or a reason rather than simply taking a role as an agent. Also, as referred in previous researches, 「に」is frequently used in indicating subject or agent because of its "directionality" and its "spatiality". If "directionality" takes prominent role in the sentence, the expression including「に」gives its attention to a "focus point". And if "spatiality" predominates, 「に」expresses its attached noun as a target or an agent. And I assume that 「に」's direction drives in centrepetal "directionaliity" in the agent's point of view.

한국어

일본어의 수동표현은 여러 가지 면에서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능동-수동이라는 voice의 대립의 관점 이외에, 동작-상태라는 aspect적인 의미의 대립도 그 개념에 관계된다고 보고, 수동의 유형을 동작 수동과 상태수동이라 칭하고, 동작주의 형식적인 유형의 하나인 「に」의 실현을 후접동사의 의미관계 및 주어의 유무생의 관계, 동작주의 유무생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고찰해 보고자 했다.「に」는 우선 본고에서는 취급하고 있지 않지만, 소위 간접수동문에 나타나고, 직접수동문에도 나타난다. 선행연구에서 지적하고 있듯이, 언어동사 등의 기술에 많이 쓰이는데, 모양변형, 태도, 접촉의 동사, 의지활동의 동사 등 다양한 타동사의 경우에도 자주 쓰인다고 생각한다. 주어의 유, 무생의 경우 유생이 전체의 81%를 차지하고, 무생이 19%를 차지하고 있고, 동작주의 경우도 유생이 72%, 무생이 28%를 차지하고 있다. 요컨대 「に」는 주어도 동작주도 유생의 경우가 비교적 많으므로 호소카와 유키코(1986)의 설에 따르면 동작 수동의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무생의 경우도 주어가 19%, 그리고 동작주가 28%로 다소 높은 숫자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수동의 동작주 표시 「に」는 상태 수동성도 적지 않게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한다. 또한 무생의 동작주의 경우는, 순수한 동작주로서의 역할보다, 원인, 이유의 의미로 쓰이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도 언급하고 있듯이, 「に」가 본래 갖고 있는 「방향성(귀착점)」과 「장소성」의 성격이 영향을 주어 동작주 표시 가운데 양적으로 가장 많다. 「장소성」의 성격이 강해질 경우에는, 「に」로 표시되는 표현은 「초점」이 강조되게 되고, 또한 「방향성」의 성격이 문제가 될 경우에는 「도달점 · 동작주」의 표기가 가능해 진다. 그리고 그 방향의 성격은 동작주의 관점에서 보아 구심적인 방향성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닐까 여겨진다.

목차

Ⅰ. はじめに
 Ⅱ.先行研究
 Ⅲ.分析
  3.1. 分析の方法
  3.2. 用例の分析
 Ⅳ.結び
 参考文献
 用例出典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金美燕 김미연. 韓国外国語大学校 講師、日本語学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