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日本語學

日本語を母国語とする日本人の条件表現に関する調査 -表現教育の一環としての選択肢型と単答型の設問調査結果の対照-

원문정보

Conditionals Used by Japanese Native Speakers: On Comparison of Results of Surveys with Selective and Short‐answer Forms

일본어を모국어とする일본인の조건표현に관する조사 -표현교육の일환としての선택지형と단답형の설문조사결과の대조-

金慶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an investigation of expressions such as ば(ba), と(to), たら(tara), and なら(nara) showing coordinate condition in Japanese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early establish the status of conditional expressions by comparison and analysis of results of a short‐answer survey with those of a selective survey conducted in 2008. Ba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two surveys on ば(ba), と(to), たら(tara), and なら(nara), indicating various semantic usages of conditional expressions, the subjects selected たら(tara) more in semantic usages of ば(ba) and と(to), and some of them selected ば(ba) in semantic usages of と(to) and たら(tara) indicating factual usages, as for the selective survey. In both selective and short‐answer surveys, selecting たら(tara) was high in semantic usages of ば(ba) and たら(tara), while some of the subjects selected と(to), which was not supposed to be selected. In the selective survey only, ば(ba) was selected in semantic usages of と(to) and たら(tara), indicating the subjects used them mixed. In other words, only for the selective survey, young Japanese in colleges used ば(ba), と(to), たら(tara), and なら(nara) mixed without a clear classification of their semantic domains, many of them selecting them in a broader sense based on context. However, given that たら(tara) and ば(ba) were selected almost evenly in the selective survey but ば(ba) was overwhelmingly selected in the short‐answer survey, the use of たら(tara) in a broader sense or mixed with other expressions was not established in the results of the short‐answer survey.

한국어

本稿는 日本語의 順接條件을 나타내는 表現形態 「ば(ba)・と(to)・たら(tara)・なら(nara)」에 關한 使用實態調査로써 2008年의 選擇肢型 調査에 이어 單答型 調査를 實施하여 選擇肢型 調査結果와 對照分析함으로써 條件表現의 使用實態를 明確히 把握함이 硏究目的이다. 多樣한 意味用法을 나타내는 「ば(ba)・と(to)・たら(tara)・なら(nara)」에 關한 使用實態調査의 選擇肢型과 單答型의 對照分析結果에 의하면 日本의 大學에 在學中인 젊은 層은 表現形態 「ば(ba)・と(to)・たら(tara)・なら(nara)」의 意味領域이 뚜렷하게 區分되어있지 않은 경우는 共通的 意味用法의 領域이 아니더라도 混用을 許容하는 傾向이 있다는 結果가 나왔다. 그것은 「ば(ba)・と(to)」의 選擇을 豫想했던 表現에 「たら(tara)」의 選擇比率이 높을 뿐 아니라 非條件的인 表現인 事實的用法을 나타내는 「と(to)・たら(tara)」의 表現領域에 「ば(ba)」를 選擇하는 傾向이 나타난 것에서도 文脈의 흐름에 따른 廣義的인 選擇을 하는 것으로 判斷된다. 그러나 單答型 調査結果에서는 選擇肢型에서 나타난 「たら(tara)」의 擴張現象이 確認되지 않았다. 또한 選擇肢型에서는 「たら(tara)」가 「ば(ba)」와 選擇比率에서 均衡을 이루고 있는 데 反해 單答型에서는 「ば(ba)」의 選擇이 壓倒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外에도 選擇肢型과 單答型 모두 「ば(ba)・たら(tara)」가 選擇對象이 될 것이라고 豫想한 表現에 「なら(nara)」系의 選擇比率이 높게 나타났고 또 選擇對象이 아니라고 생각했던 「と(to)」의 選擇, 그리고 選擇肢型에서만 나타났지만 「と(to)・たら(tara)」의 領域에 「ば(ba)」가 選擇되는 등의 混用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번에 實施한 単答型에서는 選擇肢型에서 나타난 變化가 아직 定着되지 않은 것을 確認할 수 있었다.

목차

Ⅰ. はじめに
 Ⅱ. 実態調査の方法と質問項目
 Ⅲ. 質問項目別における表現形態の頻度と比率
 Ⅳ. 選択肢型と単答型の分析
 Ⅴ. 選択肢型と単答型の分析結果の対照研究
 Ⅵ. まとめ
 参考文献
 例文出典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金慶惠 김경혜. 仁川大學校 敎授, 日本語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