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시대 봉수대의 구조와 조사방법

원문정보

The Structure and Investigation Method of Beacon Sites of the Joseon Period

홍성우, 박세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ire is an element which has been a part of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since prehistoric times. Mankind has used fire for various purposes, even for a signaling system, as is demonstrated by beacon fire. It is presumed that it wa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at fire first began to be used as a signal system. But it is considered that it was in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that a beacon system was systematically established. Studies on beacons have mainly been concentrated on their operation system. However, studies on actual beacon structures have also begun to take place. Beacon sites are complex sites which contain within them various facilities. The low level of understanding regarding beacon sites may be attributed to this complexity. The authors of the current paper therefore felt the need to analyze the basic components and structure of beacon sites, and use these results as the basis of a research methodology. The basic elements of a beacon site were classified into core facilities and auxiliary facilities according to character and function. Core facilities are those constructed for signalling transport and surveillance, and comprise the fire place, fire stand (fire place and watch tower), watch tower, protective wall and fuel bunker. Auxiliary facilities are those constructed for operating the beacon, and include houses, storehouses, fields and wells. Two ways of classifying beacon sites are presented. One method focuses on the site layout and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core facilities, while the other method focuses on the layout of the beacon site and residential area. These attempts at classifying beacon sites were found to be extremely helpful in providing, to some extent, a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diversity of beacon sites, which until now have been vaguely understood. The structural study of beacon sites is of course necessary, but this should be preceded by a systematic investigation of the site through excavation. Methods of investigating beacon sit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types. One method focuses on identifying the extent and components of the site, while the other method focuses on excavating individual features. A grid type survey of the entire site can be used when the core and auxiliary facilities of the beacon site are in close proximity. However, when the two types of facilities are located far apart, grid type surveys can be applied to individual sections and the data can then be plotted onto a topographical map. When investigating individual features, the features of the core and auxiliary facilities were examined with upmost care, and the remaining features were examined in order to review the most appropriate method of excavation. It is clear that,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core elements of the beacon site, such as the fire stand and fire place, various excavation methods and processes of verification are required.

한국어

선사시대 이래 문명의 발달에 있어 빠질 수 없는 요소가 불이다. 인류는 다양한 용도로 불을 사용하였고, 한층 더 진화하여 신호체계로까지 이용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봉수이다. 우리나라에서 불을 신호체계로 이용하기 시작한 시기는 삼국시대로 추정되지만 봉수제가 체계적으로 확립된 시기는 고려~조선시대라 할 수 있다. 봉수연구는 주로 봉수 운영체계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야외실물을 통한 연구도 조금씩 진행되고 있다. 봉수대는 그 내부에 다양한 시설이 구축되어 있는 복합유적이다. 이러한 복합성 때문인지 봉수대를 이해하는 수준은 아직 낮은 편이다. 봉수대의 기본 구성요소 중 성격과 기능에 따라 중심시설과 보조시설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중심시설이란 봉수대의 주기능인 신호의 전달과 후망을 위해 축조된 시설로 연조·연대(망대+연조)·망대·방화벽(방호벽)·연료창고가 있다. 보조시설이란 봉수대 운영을 위해 축조된 시설로, 주거지·물품창고·경작지·우물이 있다. 봉수대의 분류에 있어 중심시설의 배치 및 유무에 따라 분류하는 안과 봉수영역과 주거영역의 배치유형에 의해 분류하는 안이 현재 제시되어 있다. 봉수대 분류의 옳고 그름을 떠나 이런 봉수대 분류안이 시도되면서 그 동안 막연하게 인식되어 왔던 봉수대를 어느 정도 구체화하여 그 실체와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봉수대의 구조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겠으나, 그에 앞서 체계적인 발굴조사가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봉수대의 조사방법은 크게 2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하나는 전체 봉수대의 범위와 구성요소를 파악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개별유구의 조사방법이다. 봉수대의 구성요소인 중심시설과 보조시설이 인접한 경우에는 그리드식 조사로 전체현황을 파악하고 중심시설과 보조시설이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는 개별 그리드화로 조사한 후 지형도에 合圖하는 방법이 있다. 개별유구의 조사법에 있어서는 중심시설과 보조시설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최대한 파악하고, 조사된 잔존흔을 통해 조사방법을 검토하였다. 특히 연대 및 연조는 봉수대를 구성하는 핵심요소로 다양한 조사방법과 검증과정을 필요로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조사사례와 선행연구
  1. 조사현황
  2. 선행연구 정리
 Ⅲ. 구조와 분류
  1. 개념과 구조
  2. 분류와 문제점
 Ⅳ. 조사방법
  1. 사전(지표)조사
  2. 발굴조사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성우 Sung-woo Hong. (재)경상문화재연구원 조사팀장
  • 박세원 Se-won Park. (재)경상문화재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