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A considerable number of pit features have been discovered at various sites spanning all periods. However, systematic studies have yet to be conducted, including studies on methods of archaeological excavation. Thus, this study presents an examination of the pit remains from the Hwanggol site in Wolsan-ri, which date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to Baekje period and were excavated by the Korean Institute for Archaeology and Environment in 2009-2010. It also examines diverse analysis methods. The positive aspects of the current methods most commonly used, namely the half earth removal method and the 1-ja embankment earth removal method, are that they cut down on investigation time and prevent the collapse of the pits. However, their limitations are that they simply analyze the soil stratigraphy of the pit features.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1-ja pit earth removal method, the cross embankment earth removal method, the four-division earth removal method and other methods. The appropriate application of these methods were deemed to be determined by the nature of the investigation method adopted for the site. It was also suggested that, when analyzing stratal patterns, it is useful to use photos of earth layer sections created through mixture and extraction using the PhotoShop's Photomerge function. Various methods of analysing the alluvial soil found within pit remains, which have not been readily been studied thus far, were examined. More objective data on the sedimentary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pit remains were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pollen and organic content, the analysis of the chemical components of soil samples, the analysis of plants and plant opal (phytoliths), and the use of the flotation and selection method. Also, regarding pit features which had already been excavated, their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checked, a storage experiment was conducted, and the process of abandonment was observed. The 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pits were thus analyzed. Through these experim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 pit features would have sufficiently served as storage pits. Since pit features are important archaeological remains which reflect the social, economic and other patterns of past people, such analysis and experimental archaeology should further conducted. In addition, systematic studies should be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accumulated data.
한국어
수혈유구는 시대를 불문하고 각 유적에서 상당히 많이 확인되는 유구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발굴조사 방법 역시 구체적으로 제시된 바가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2009~2010년 한국고고환경연구소에서 조사한 월산리 황골유적의 원삼국~백제시대 수혈유구를 중심으로 자료를 정리하고 분석하여 수혈유구에 대한 조사와 분석의 다양한 방법을 살펴보았다. 기존에 가장 많이 적용되었던 ½ 제토법과 1자둑 제토법은 조사 시간을 단축하고, 유구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단순한 층위 해석이라는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이를 보완할 수 있는 1자 Pit 제토법, 십자둑 제토법과 4등분 제토법을 포함하여 각 제토법의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제토법은 추후 수혈유구에 대한 현장 조사시 각 조사방법의 특징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하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포토샵의 Photomerge 기능을 이용하여 혼합-추출한 토층단면 사진을 단면도와 같이 활용하면 층위양상 해석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울러 기존에 잘 이뤄지지 않았던 수혈유구 내부퇴적토에 대한 각종 분석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화분 및 유기물 함량 분석, 토양시료에 대한 화학성분 분석, 플랜트·오팔(식물규산체) 분석, 부유선별법 등을 통하여 수혈유구의 퇴적과정, 성격과 기능 등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조사가 완료된 수혈유구에 대해 온·습도 확인, 저장실험, 폐기과정 관찰 등의 실험을 실시하여, 수혈의 성격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수혈유구가 저장혈로서의 충분한 기능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혈유구가 당시 사람들의 사회·경제상 등을 반영하는 중요한 유구라는 차원에서 앞으로 이러한 분석과 실험은 더 많이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하며, 축적된 자료를 통해 수혈유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현황 및 연구방법
1. 연구현황: 연구의 문제점
2. 연구방법
Ⅲ. 조사방법
1. 유구확인 작업 및 내부조사 준비
2. 내부퇴적토 제거
3. 출토유물의 층위조사와 토층단면 촬영
4. 도면 작성
Ⅳ. 기능 검토를 위한 분석과 실험
1. 자연과학분석
2. 부유선별법을 이용한 식물유체 분석
3. 유구 복원과 실험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