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북아시아 찰갑(札甲)의 기술계통 연구 - 4세기대 영남지역 찰갑 고찰을 위한 시론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 System of East Asian Scale Armor -A preliminary examination of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scale armor from the fourth century Yeongnam region-

송정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rmor culture of East Asia can be divided into three technical types according to manufacturing techniques which concern basic structure and adhesion. Aside from the technique applied to the manufacture of plate armor, which uses plates (which are relatively large and vary in shape), the techniques applied to the manufacture of scale armor include 'leather binding' (in which scales are bound by leather thongs both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o that they do not overlap) and 'suspensory binding' (in which scales are bound vertically by leather thongs and overlap).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er method are that 1) square-type scales are used, 2) in the case of trunk armor, scales are connected both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3) the armor opens from the right side. From a geographical perspective, this method has connections with the Han people of Central China, for whom lamella armor (魚鱗甲) is the representative armor type. On the other hand, armor manufactured using the 'suspensory binding' method 1) uses narrow rectangular scales, 2) scales of the trunk armor are vertically connected, and 3) the armor opens from the front. This method is geographically related to non-Han nomadic populations of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who used scale armor. In the past, armor was categorized based mainly on manufacturing technique, making it difficult to explain the mixture of these two methods in areas where both existed. The mixture of these two binding methods began to appear in the peripheries of the kingdom of Yan (燕) in the late Warring States period. Around the beginning of the Han(漢) period, there was significant interchange with the nomads of the northern region, including the Huns and Xianbei. This gave rise to the combination of the 'leather binding' method of Central China and the 'suspensory binding' method which was used throughout vast area spanning from Inner Mongolia to Yunnan Province. Scale armor from the Yeongnam region dating to the fourth century can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 presence of waist armor (一字形腰札). Examination of their manufacturing technique and origin has revealed that the type with waist armor might have originated from the waist armor used in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around the third century which was adopted by Three Yan (三燕) or Goguryeo. With regard to the type without waist armor, it was introduced into the Yeongnam region after the 'leather binding' method of Central China, which was adopted through Lelang, was combined with the 'suspensory binding' vertical method in the north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한국어

동북아시아 갑주문화는 기본구조와 연접기법 등 제작기술의 차이에 의해 크게 3가지 기술계통으로 구별된다. 이 중 지판(地板)을 사용하여 판갑(板甲)을 제작하는 지판혁철(地板革綴) 계통을 제외하고, 소찰(小札)을 사용하여 찰갑(札甲)을 제작하는 기술은 소찰혁결(小札革結)과 소찰수결(小札垂結)의 2가지 계통이 있다. 소찰혁결 계통은 방형 계열의 상방하원형 소찰을 사용하고, 혁결법으로 신갑의 상하방향을 연접하는 내중식(內重式)에 우협개폐(右脇開閉)가 특징이다. 지역적으로 중국 중원지역의 한족(漢族)과 관련되며 어린갑(魚鱗甲)으로 대표된다. 소찰수결 계통은 장방형 계열의 소찰을 사용하고, 수결법으로 신갑의 상하방향을 연접하는 외중식(外重式)에 전동개폐(前胴開閉)가 특징이다. 지역적으로 중국 동북지역의 비한족(非漢族) 유목민족과 관련된다. 그러나 기존에는 지역적인 기술계통의 전통을 강조하는 연구경향으로 인해 기술계통의 상호교류 문제를 등한시한 측면이 없지 않았다. 특히 서로 다른 기술계통이 겹치는 지역에서는 기술계통이 혼합된 개체가 다수 확인된다. 즉 전국시대 후기에 연나라(燕國) 변경에서 찰갑의 두 기술계통이 혼합되기 시작하였으며 한대(漢代)에 들어와서 흉노와 선비 등 북방 유목민족과 지속적으로 교류한 결과 중원지역의 소찰혁결 계통에 소찰수결 계통이 혼합된 개체가 내몽고(內蒙古)에서 운남성(雲南省)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서 제작됨을 알 수 있었다. 영남지역의 4세기대 찰갑도 요찰(一자형)의 유무를 기준으로 2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기술계통과 유입경로를 검토한 결과 요찰을 가지는 유형은 3세기 무렵 중국 동북지역에서 형성된 요찰을 삼연(三燕) 내지 고구려를 통해 수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요찰을 가지지 않은 유형은 낙랑을 통해 수용된 중원지역의 소찰혁결 계통에 소찰수결 계통이 혼합된 후 영남지역에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찰갑의 부분명칭과 제작기법
  1. 찰갑의 부분명칭
  2. 찰갑의 제작기법
 Ⅲ. 동북아시아 찰갑의 제작기술
  1. 중국 중원지역 찰갑의 기술계통
  2. 중국 동북지역과 한반도 찰갑의 기술계통
  3. 일본열도 찰갑의 기술계통
 Ⅳ. 영남지역 초기 찰갑의 특징과 기술계통
  1. 영남지역 초기 찰갑의 특징
  2. 기술계통의 변천과정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정식 Jung-sik Song. (재)울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터 부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