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일제시대 재일한인 민족운동의 시론적 재구성

원문정보

The Remaking of National movement of Korean residents in Japanese Imperialism period

김인덕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25집 2010.12 pp.239-27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ational movement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as linked with domestic movement and overseas’ movement as independent agitation. Also, this particular movement had been developed throughout development, alternation, formation since Korean going over Japan. Korean residents in Japan’s emigration to Japan was based on demands of the Japanese capitalism. People who emigrated to Japan were absorbed into the lowest level of Japanese society. Particularly, since the 1920, expansion of massive and rapid colonials, villages of Korean were took shaped where was liberated area and headquarters of national movement. The socie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constituted in 1910s’, was mainly prior to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and naturally movement had been centered on these students. These central forces had played important role in evolving national movement in Korean and Japan; February 8th movement in 1919 was also leaded by these students. In 1920s, progressing and advancing period, Korean residents in Japan’s national movement was preceded by youth, laborer, and students. Especially on the first part of 1920s, they unificatively had grown systematic ability through organization. For this, Korean socialism organization, Korean communism party in Japan, Headquarter of Korean communism party in Japan were took a great part for movement. Korean residents in Japan’s national movement in 1920s could have developed by organic relationship of parties and people and unified system. Korean residents in Japan’s national movement was self-developed by a change of their direction. Influence of national movement faced with two different faces during mutation in 1930. One influence had developed as a part of social movement in Japan. The other influence had progressed with keeping certain distance by themselves. Movement of this mutation did not adopt only national problems but also typical demands as significant moment. On the other hand, resistance of compulsive haul and youth group was crucial role for anti-Japanese struggle via compulsive haul era and 1940s. In particular, students and youth constantly had been rebuilt with a form of small groups. National movement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had been developed, altered, and formed which were based on results from movement. These movements had been progressed with various types of shape and had optical characters; semi-feudalism and anti-imperialism.

한국어

재일한인의 도일은 일본자본주의의 요구에 기초했다. 그리고 도일한 재일한인은 일본 사회의 최하층에 흡수되었다. 특히 이주자가 급속히 늘어난 1920년을 기점으로 조선인 마을이 형성되었고 이곳은 해방구이자, 민족운동의 근거지가 되었다. 생성기인 1910년대에 형성된 재일한인 사회는 유학생이 중심이었고, 재일한인 민족운동은 유학생 중심으로 전개되기 시작했다. 1919년 2․8운동을 주도한 중심세력은 이후 국내와 일본에서 민족운동을 견인해 가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발전기인 1920년대 재일한인 민족운동은 노동자와 청년․학생이 투쟁을 선도했다. 특히 1920년대 초반 재일한인은 단체를 통해 조직적 역량을 길러냈다. 특히 1925년 이후 재일한인 민족운동은 조직적 역량에 기초하여 통일적으로 전개되었다. 여기에는 일월회, 조선공산당 일본부, 조선공산당 일본총국의 역할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1920년대 재일한인 민족운동은 당과 대중단체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통일적 조직에 기초해 대중운동이 발전했던 것이다. 재일한인의 민족운동은 방향전환을 통해 자기 발전한다. 재일한인 민족운동 세력은 1930년대 변화기를 두 가지 방향에서 맞이했다. 한 세력은 일본 사회운동의 한 축으로 투쟁을 전개했다. 또 다른 세력은 일본 사회운동과 거리를 갖고 독자적으로 움직였다. 이 변화기의 재일한인 민족운동은 민족문제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요구를 투쟁의 중요한 계기로 채택했다. 그런가 하면 강제연행기와 1940년대를 거치면서 재일한인 민족운동은 강제연행에 대한 저항과 학생․청년단체가 중심이 되어 반일투쟁을 전개했다. 특히 학생․청년들은 소그룹적 형태로 끊임없이 조직을 재건해 갔다. 재일한인 민족운동은 조직운동의 성과에 기초하여 생성․발전․변화되었다. 이러한 재일한인의 민족운동은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고, 한국 민족운동의 보편적인 성격인 반제․반봉건의 특징을 띠고 있었다.

목차

I. 머리말
 II. 생성기(1910~1919년) 재일한인 민족운동
  1. 도일의 역사적 의미
  2. 재일한인 민족운동의 출발(1910~1919년)
 III. 발전기(1920~1929년) 재일한인 민족운동
  1. 다양한 재일한인 민족운동
  2. 통일적인 재일한인 민족운동
 IV. 변화기(1929~1945년) 재일한인 민족운동
  1. 재일한인 민족운동의 해산과 일본 사회운동 속의 재일한인 민족운동
  2. 독자적인 재일한인 민족운동
  3. 강제연행과 재일한인의 민족운동
 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인덕 Kim, In Duck.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