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전시체제기 군수물자 확보와 조선인 근로동원 -석유 대용품 松脂, 松炭油, 松根油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Wartime Munitions Securement and Korean Labor Mobilization -pine resin turpentine, pine oil as oil substitute-

전시체제기 군수물자 확보와 조선인 근로동원 -석유 대용품 송지, 송탄유, 송근유를 중심으로-

김윤미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25집 2010.12 pp.207-237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ine tree accounts for a great part of the forest of our country. Pine tree is used in many ways such as lumber, medicine, paint. In Japanese Colonial Period, pine tree was nicked to take resin, and pine twigs were gathered to make oil called ‘turpentine’ which was used as one of oil substitute as wartime oil imports became harder. Relevant supplies were begun to be controlled to concentrate its efforts on oil substitute production by expansion of synthetic oil industry from 1937. The prices of pine resin, pine oil, turpentine were controlled, and an output was allocated. But, as for a limit with just business production, a method of production led by the government general was devised. Method of producing pine resin and turpentine by generating a rural work force was expanded. Production of pine resin was expanded by development of collection method in 1938, Charcoal and oil were begun to be made out of pine tree as the term ‘turpentine’ has begun to be used first in 1943. Turpentine could be used as heavy oil substitute for transportation of supplies, ship, fishing boat, industry. Charcoal could also be obtained through collecting turpentine. Charcoal could be used as automotive fuel, and also was the commodity absolutely necessary in the industry on the situation such as iron manufacture, scrap iron recycling industry, gas generating raw material. Furthermore, it was being used as household fuel. An another reason for production of turpentine is that rural work force could be generated. Besides, a more important reason of choosing turpentine production method is the equipment. Turpentine production method was a way designed to produce only with soil and stone without using iron and cement which were definitely lacking at that time. On the other hand, Japan increased pine oil output and used as aviation fuel in 1944. Air military strength build-up was the most urgent nation-wide plan in 1944년. Steel for construction of a warship was substituted for one necessary for equipment. Koreans were generated in collecting pine tree necessary for producing turpentine. Quotas on collection delivery of resin and pine twigs were assigned to students and farmers as part of national all-out movement. Nearby pine tree have disappeared as time passed, and increasing collection delivery amount had to be managed through coming and going a long distance. Students collected resinous knots of a pine tree in the mountains instead of class, and the farmhouse had to provide labor on production of turpentine not able to farm. But, turpentine obtained through hard labor of Koreans and devastating the mountain of Korea ended being piled up without being transported from area of production.

한국어

우리나라의 산림에서 소나무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상당하다. 소나무는 목재ㆍ약재ㆍ도료 등 여러 방면에서 소용되고 있는 나무이다. 일제시기에는 송진을 채취하기 위해 소나무 기둥에 ‘V’자형의 상처를 내었고, 솔가지들을 모아다 기름을 만들었다. ‘송탄유’라는 것이었는데, 이것은 전시체제기 석유의 수입이 어렵게 되자 석유 대용품 중 하나로 이용되었다. 1937년부터 인조석유사업을 확대시켜 석유 대용품 생산에 주력하며 관련 물자들을 통제하기 시작했다. 송지․송근유․송탄유에 대해서도 가격이 통제되고 생산량이 할당되었다. 그러나 기업생산만으로는 한계가 있자 총독부 주도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했다. 농촌노동력을 동원해서 송지와 송탄유를 생산하는 방식을 확대시켰다. 송지는 1938년 채취법을 개발하여 생산을 확대하였고, 송탄유는 1943년 처음 이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소나무(松)에서 목탄(炭)과 기름(油)을 만들기 시작했다. 송탄유는 重油 대용으로 물자운송용ㆍ선박용ㆍ어선용ㆍ공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송탄유 채취를 통해 얻게 되는 또 하나는 목탄이었다. 목탄은 자동차연료로 사용할 수 있었고, 이외에도 제철․고철재생공업․가스발생원료 등 시국관련 공업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물품이었다. 게다가 가정용 연료로도 사용하고 있었다. 송탄유 생산을 선택한 또 다른 한 가지 이유는 바로 농촌노동력을 근로동원 시킬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 외에 송탄유 생산방식을 선택한 더욱 중요한 이유는 설비였다. 당시 절대적으로 부족했던 철과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흙과 돌만으로 설비를 할 수 있는 것이 송탄유 생산방식이었던 것이다. 반면 일본에서는 1944년 송근유를 증산하여 항공연료로 사용하였다. 1944년 항공전력 증강이 가장 시급한 국가동원계획이었던 것이다. 설비에 필요한 강재는 군함건조용을 대용했다. 송탄유 생산에 필요한 소나무 수집은 조선인들을 동원하였다. 국민총력운동의 일환으로 학생과 농민에게 송진과 솔가지 공출 할당량을 지정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인근의 소나무는 사라져갔고, 먼 거리를 오가며 늘어나는 공출량을 감당해야했다. 학생들은 수업 대신 산에서 관솔을 채취했고, 농가에서는 농사를 지을 틈도 없이 송탄유 생산에 노동력을 제공해야 했다. 그러나 조선의 산을 황폐화시키고, 조선인들의 고된 노역으로 얻은 송탄유는 생산지에서 운반도 되지 않은 채 쌓여있다 끝이 났다.

목차

I. 머리말
 II. 석유 대용품 생산과 송지채취(1939~1945)
  1. 석유 대용품 생산과 가격통제
  2. 송지채취와 조선송지통제회 설립
 III. 송탄유긴급생산계획의 배경
  1. 조선의 송탄유긴급생산계획
  2. 조선과 일본의 松油생산 비교
 IV. 송탄유긴급생산과 국민총력운동
  1. 乾溜를 위한 특수제탄요 설치
  2. 송진 채취와 '관솔' 모으기
 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윤미 Kim, Yoon Mi. 부경대학교 사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