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중부 서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유적의 입지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location of Neolithic sites in the midwest costal zone

공민규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25집 2010.12 pp.5-4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eolithic sites in the midwest coastal zone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ettlement with dwellings, shellfish middens as temporarily occupied sites and outdoor hearths with multiple usages. These sites are mainly situated on the hill-slope, but few sites are on the costal plain. Such location was aimed to reduce instability due to sea level fluctuations for better settlement management. Both large and small sized Neolithic settlements are found. There are macro-scaled settlements such as Unseo-dong Ⅰsite and Jungsan-dong site and mid-large sized settlements including Shingil-dong site and Neunggok-dong site, but both types consist of dwelling pits only. Small-sized settlement has a set of spatial places for dwelling, production and storage with easy and secured access to resources, although it was a short-term occupation site. The spatial arrangement of dwelling pits, in the case of large sized settlements, are randomly or enclosed-clustered, but either ring-shaped of pitsorasettlement with aplazaisal sosuggestedin the Neunggok-dongsite. Shell middens are situated on the hill slope and were occupied for short-term production,dwelling and food consumption during the shellfish catching season. Outdoor hearths served as communal cooking and pottery or salt production area. Outdoor hearths located on the coastline formed by sedimentation, were where ordinary producing activities took place, supported by cooking and heating. Lastly, the possibility of reduced natural resources at the rear due to elevation of sea level is suggested. Despite the common assumption of gradual sea level rise from 5,000 to 3,200 BP, it is likely that there were constant minor transgressions and regressions during the stabilized period in the postglacial age, based on the results of absolute dating and functions of archaeological features.

한국어

중부 서해안지역의 신석기시대 유적은 주거지를 중심으로 한 취락, 단기 거주성(가공)유적인 패총과 기타유구, 복합성격의 야외노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중부 서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유적의 입지는 대부분 구릉을 기반으로 한 사면지형에 집중되는데 해안평야지역의 경우 해면의 변동이나 대조차로 인한 불안정성이 상존하기에 조금 더 안정적인 취락 운영을 위한 입지 선정으로 볼 수 있다. 신석기시대의 취락은 대형 취락과 소형취락이 동시에 확인된다. 대형취락은 운서동Ⅰ유적이나 중산동유적의 예와 같이 거대 규모의 취락도 확인되며, 안산 신길동유적이나 시흥 능곡동유적과 같이 중대형 취락도 확인되는데 단순히 주거지만으로 취락이 구성되는 특징도 나타난다. 소형의 취락은 주거와 생산, 저장, 소비공간 등이 복합되는데 소규모 단위로서 양질의 자원 확보와 단기적이지만 안정된 거주공간의 모색 등이 특징이다. 취락의 형태는 대형 취락의 경우 괴촌 또는 면상취락의 형태가 대부분이나 시흥 능곡동유적에서 광장촌 또는 환상취락의 가능성도 제시하였다. 패총은 주로 구릉 사면에서 확인되며 단기 거주성의 생산과 소비유적으로 볼 수 있다. 즉 계절성을 띠는 패류의 채취 기간 중 일시적으로 거주하는 성격으로 판단된다. 야외노지는 구릉의 입지를 통해 공동의 취사장소 또는 토기나 소금의 생산시설 등으로 나눠볼 수 있다. 그리고 해안퇴적지형상에 입지한 야외노지는 대부분 일상적 생산(가공)유적에 해당되며 기능적으로 볼 때 생산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취사나 난방시설로 판단된다. 끝으로 해면의 변동과 관련하여 중부 서해안지역의 취락은 해면의 상승으로 배후의 자원영역이 감소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5,000BP 이후 3,200BP까지 후빙기의 해면 상승이 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패총 등 유적에서 확인되는 유구의 성격이나 절대연대값, 그리고 해면 변동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후빙기 내의 해면 안정기에도 미변동에 따른 해진과 해퇴가 반복적으로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목차

I. 머리말
 II. 신석기시대 유적의 양상
  1. 주거유적
  2. 패총
  3. 야외노지
 III. 유적의 입지 검토
  1. 유적의 성격별 입지
  2. 해수면 변동과 신석기유적의 입지
 I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공민규 Kong, Min Kyu. 한국고고환경연구소 책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