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민세 안재홍의 ‘민주공화국’ 사상 ― 그의 언론활동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chaehong and the formation of democratic republicanism in Korea

조맹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will discuss the origins of Korean democratic republicanism since 1919. According to the first article of Law in the Korean Constitution, the Republic of Korea is a democratic republic. A democratic republic has three specific criteria in Korea; the first being that everyone has an opportunity for employment, the second is that all have the right to live peacefully together, and the last is that anyone has the ability to govern. The origin of democratic republicanism in Korea started with Shin-sukwoo and An-chae hong. In 1924, Shin-sukwoo who was graduated from Waseda University in Tokyo and a member of Dongjaesa, a club of independent movements, took over the Chosun Daily News when An-chaehong was the chief editor of the paper. An used this position to develop his political ideas from 1919 to 1948. Onc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as established, after the World War 2, An had settled on his ideas for the foundation of a Korean democratic republic. The trend of law is to influence a kind of ‘open nationalism’ where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political spectrum can live together harmoniously in society. An-chaehong, as an economist, adapted the Marxist theory of economy for the communication tools. He fundamentally believed that all men and women should have liberty and an equal opportunity to share the benefits of society. In Korean democratic republicanism, people would be able to enjoy their life through liberty on one hand, and economic equality on the other. This paper will use an historical analysis approach to explain An-chaehong’s process of developing democratic republicanism in Korea by looking at major national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Congress of Reporters in 1924 and the Singan movement in 1927. During these events, An-chaehong developed his ideas for the freedom of the press, liberty, equality, and the need for a democratic constitution in Korea.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라는 개념의 원류를 찾는데 초점을 둔다. 이 개념이 성립되는 과정의 논의는 제헌국회의 헌법 정신을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1948년 헌법의 개정 당시, 안재홍은 ‘국민개로’, ‘대중공생’, ‘만민공화’를 민주공화국의 핵심 요소로 간주했다. 안재홍은 이 개념으로 도출한 민주공화국을 ‘신민족주의’로 표현했다. 이는 칸트(I. Kant)의 󰡔영구 평화론󰡕과 맥을 같이하는 개념이다. 본 연구는 󰡔영구 평화론󰡕이 갖고 있는 개념의 의미를 안재홍의 언론활동 맥락과 비교하여 논한다. 즉, 안재홍의 전조선 기자대회, 신간회, 신민족주의 과정을 칸트의 영구 평화론과 비교한다. 안재홍의 신민족주의와 칸트의 ‘열린 민족주의’는 유사한 점이 많다. 그러나 후자는 정치 공동체이고, 전자는 정치, 경제 공동체이다. 본 논문은 일본 제국주의와 해방정국의 시대를 살다간 언론인 안재홍이, 우리 헌법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어떻게 개입하였으며 헌법 제정 당시 갖고 있는 이념이 현재와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는지 연구할 것이다. 즉, 그 시대 사고가 지금까지 계속되는지, 또한 현재 위정자들이 그 당시와 같이 국가를 운영하는지를 비교하는 것도 필자의 관심영역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민주공화국 건설의 논의
 Ⅱ. 시대적 배경과 열린 민족주의
  1. 시대적 배경
  2. 신민족주의(국민개로, 대중공생 그리고 만민공생)의 실천
  3. 열린 민족주의
 Ⅲ. 민주공화국 사상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맹기 Maingki Cho.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커뮤니케이션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