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울지역 미세먼지의 화학적 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emical Mass Composition of Particle Matter in Seoul

박진수, 김창환, 이정주, 김진호, 황의현, 김신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articulate matter is a cause for concern because of its impact on visibility and human health in the world. It is needed to know about construction of particulate matter and to make a policy of reducing particulate matter, to solve the bad effect of particulate matter. In this study, try to define chemical composition of particulate matter of seoul with sampling and chemical analysis. But big portion about 30~40% of gravimetric mass are remained unknown. By way of construction the unknown portion, checking the error of analyzing process and a factor of effect. First, a factor of limit of analysis instrument Second, a factor of uncertainty from estimation of soil materials Third, a factors of uncertainty from estimation of ion fraction Fourth, a factor of conversion organic carbon to organic matter Fifth, a factor of retention of water on conditioned filter. Through checking the five factors as shown as upside, find to way to solve the gaps in gravimetric-measured mass and chemical mass. In this way, result of this study can be more closure to two other Mass. For the reconstruction of PM, concern about five factors show the analytical improve approximately 29%, 19% more chemical mass compared using the chemical analysis.

한국어

세계 많은 지역에서 인체유해성과 시정장애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미세먼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미세먼지의 악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우선 미세먼지의 구성성분에 대해 명확하게 해석이 되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세먼지의 특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저감대책 수립 및 실천이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의 미세먼지의 측정 및 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그 구성성분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질량농도와 화학적 구성성분을 통한 질량 비교에서 약 30~40%에 이르는 부분이 화학분석을 통하여 해석이 되지않았다. 이러한 불멱확한 부분의 해석을 위하여 추가적인 확인 및 분석작업을 통하여 화학적 분석과정에서의 오차요인과 명확하지 않았던 영향 요소를 확인하였다. 첫 번째로 분석기기의 제한성으로 인한 요인, 두 번째로 토양관련 구성물질 평가에서의 불명확성, 세 번째로 이온성분에서의 주요 이온에 대한 평가의 불확실성, 네 번째로 유기탄소와 유기물과의 관계, 다섯 번째로 항량된 필터에서 존재하는 수분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불확실한 요인들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기존 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해석되지 못하였던 부분이추가적으로 해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5가지 항목에 대한 추가적인 미세먼지의 해석방법을 적용하여 서울지역 미세먼지에 대하여 재계산을 한 결과 약 PM10과 PM2.5의 29%, 19% 이상이 기 분석된 화학성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실험방법
  1. 측정 장소 및 기간
  2. 측정 방법 및 분석 방법
 III. 결과 및 고찰
  1. 중량농도 및 성분별 특성
  2. 화학 성분별 조성
  3. 화학구성비의 해석
  4. 미세먼지의 화학성분의 재구성
 IV.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진수 Jin-Soo Park.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대기환경연구과
  • 김창환 Chang-Hwan Kim.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정주 Jeong-Joo Lee. 용인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김진호 Jin-Ho Kim. 한국HOYA전자(주)
  • 황의현 Ui-Hyun Hwang. 경도대학 토목과
  • 김신도 Shin-Do Kim.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