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산림유역 비점오염 유달특성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Delivered Nonpoint Source Pollution at Forested Watershed

전지홍, 최동혁, 김태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alculating delivery ratio is very important procedure to apply Korean Total Maximum Daily Load (TMDL). Characteristics of delivered pollutant load were analyzed by plotting flow duration curve, load duration curve, and delivery ratio duration curve for BOD, T-N and T-P using HSPF simulation results. As a result of HSPF calibration, HSPF could simulate well both pollutant load and stream flow with high model efficiency. At high flow condition, the delivery ratio of BOD and T-P was higher than that of T-N. However flow condition from medium to low, the delivery ratio of T-N was higher than those of BOD and T-P because nitrogen can be easily delivered from site of source to stream as soluble form such as NOx whereas, phosphorus can easily adhere to soil and is discharged with soil when rainy season. Overall, delivery ratios were very low especially at condition from medium to low and we concluded that that's traditional trend of forested watershed. As a result of plotting load duration curve based on target water quality and monitoring data, all of T-P concentration at high flow condition (< 10% days exceeded) were not meet target water quality so, primary measure to improve water quality, if needed, at Giran watershed is to reduce nonpoint source pollution of T-P at high flow condition.

한국어

수질오염총량제에 있어서 유달율 계산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지역인 길안유역에 있어서 강우시유출량 및 BOD, T-N, T-P에 대하여 HSPF모델을 보정한 후 유출유황곡선과 오염유황곡선, 유달율유황곡선을 작성 하고 유출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HSPF는 유출량 및 영양물질 부하량을 잘 모의하였으며, 저유량에서는 T-N의 유달율은 BOD, T-P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고유량에서는 BOD, T-P의 유달율은 T-N의 유달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질소는 자연상태에서 용존성의 NOX로 존재하기 평상시 유출이 상대적으로 많이 일어나기 때문이며, 인이나 BOD의 경우에는 강우시 입자상의 유출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부하유황곡선 분석결과, 길안유역의 고유량 일때의 TP가 수질오염총량제 목표수질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상유역의 우선관리는 강우시 T-P인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재료 및 방법
  1. 연구대상지역
  2. 연구방법
  3. 모델적용
 III. 결과 및 고찰
  1. 모델 보정결과
  2. 유달특성분석
  3. 부하량 유황곡선을 이용한 수질관리
 IV.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전지홍 Ji-Hong Jeon.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최동혁 Dong-Hyuk Choi.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태동 Tae-Dong Kim.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