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원단위를 이용한 낙동강유역 비점오염 배출특성 분석

원문정보

Characteriz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from the Nakdong River Basin using unit Load Method

전지홍, 장태권, 황하선, 최동혁, 김태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patial change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ings along Nakdong River Basin was analyzed using discharged pollutant loading calculated by unit load. Nonpoint source pollutions were more loaded than point source pollution at Nakdong River Basin and increased steadily from upper to down river basin. Major source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Nakdong River Basin was land cover and second major source of that was livestock. Major source of land cover as nonpoint source pollution was urban for BOD item, forested and agricultural area for T-N and urban, agricultural, forested area with similar ratio for T-P item. Overall nonpoint source pollutions from upland and forest were decreased and thoes from paddy rice filed and urban area were increased as river goes from upstream to downstream. The pollutant loading rates from subwatershed located at downstream were higher than other subwatershed and major source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were land cover and livestock.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원단위에 의해 계산된 배출부하량을 이용하여 비점오염원의 공간적인 분포를 분석하였다. 낙동강유역에서의 비점오염부하량은 점오염부하량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류로 갈수록 비점오염부하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유역의 주요한 비점오염원은 토지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이 축산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계에서의 주요한 비점오염원은 BOD는 대지, T-N은 산림과 농경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T-P는 대지, 산림, 농경지가 비슷한 비율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논을 제외한 농경지와 산림은 하류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논과 대지는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재료 및 방법
  1. 연구대상지역
  2. 연구방법
 III. 결과 및 고찰
  1. 낙동강 본류 수질변화특성
  2. 하천유역별 비점오염 배출특성
  3. 소유역별 비점오염 배출특성
  4. 배출부하량과 수질농도와의 상관분석
 IV.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전지홍 Ji-Hong Jeon.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장태권 Tae-Kwan Jang.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황하선 Ha-Sun Hwang. 국립환경과학원
  • 최동혁 Dong-Hyuk Choi.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태동 Tae-Dong Kim.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