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담론 윤리 관점에서 본 동북아시아 소통 공동체 규범

원문정보

On the Norm for Sinosphere Communication viewed on Discourse Ethics

백춘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aims to prove wether the norm for Sinosphere Communication is possible, and if it be possible, then on what ground it can be stood, and finally at which directions the possible norm for Sinosphere Communication view. I want to show that the Sinosphere already has the ideal-foundational normative ground in itself, which make the real communicative community alive. The real communicative community in vice versa, can be counted as raison de fait of the ideal communicative community of Sinosphere. The ideal communicative community take the role of raison d’être of the real communicative community, which can be the proof of revealing the possible existence of the former community. These two communicative communities take their mutual, complementary roles in Sinophere community to be communicate and exist. The real communicative community reveals itself in the language, culture and Confucian Ethics. The possible ground for Sinosphere can be found on the facts that this community has already its common characters in it self on three aspects, which are on langage, on culture and on thoughts, especially on Confucianism. People who live on this East-asian parts of the world has the same, or at least, similar patterns to look at the world and the things in it. For example, Asian people find a relationship in monkey and bananas, where as American students find that one in monkey and pandas. This can shoew us that the East-asians, the Sinosphere people has a similar pattern to look at the world. A Korean TV program prove that the East Asians highly estimate “효(孝) ” for their ancestors commonly. Language has a common roots and make influence each other in this areas. The Chinese Character “puo(潑)” make influence Korean ‘pat(田)’ and Japanese ‘hata(田).’ Likewise, similar evidences can be found in many aspects in Sinosphere culture. On these arguments, I suggest that the norm for communicative community of Sinophere has to do direct to the goal of two purposes, one of which is a 'care for haman' and the other is 'contextual realism'. These two goals will be serve as a resolution to solve the problems that the Golobalized world would be challenged.

한국어

이 글은 담론 윤리의 관점에서 동북아시아 소통 공동체 규범이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어떤 근거에서 가능한지, 또 그것이 가능하다면 그 규범은 어떤 방향을 지향해야 하는지 등을 살피려는 목적을 갖는다. 우리는 이 글을 통해 동북아시아 소통 공동체가 이를 소통 공동체로 만드는 현실적 규범들을 이미 갖고 있으며, 이런 현실적 규범은 언어를 토대로 문화, 사상 등에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현실적 규범을 통해 이상적 규범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음을 밝히려 한다. 또한 이에 근거하여 동북아시아 소통 공동체가 보편성과 실질성을 아우르는 실질적 보편 규범을 지향해야 함을 주장하려 한다. 아펠에 따르면, 소통 공동체에는 두 종류가 있다. 각각 이상적 의사소통 공동체와 현실적 의사소통 공동체라고 불리는데, 이들이 공동체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유지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한다. 이상적 소통 공동체는 보편적 도덕규범의 토대가 된다. 이 보편 규범이 현실적 소통 공동체가 추구해야 할 당위적 요청으로 기능하며, 현실적 소통 공동체는 이 보편 규범이 구현되는 경험적 증거로 기능한다. 우리는 동북아시아 소통 공동체의 도덕규범들을 살펴본 후, 이런 도덕규범들이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확인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동북아시아 소통 공동체가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규범의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이다. 동북아시아 소통 공동체는 다른 사람들의 처지를 고려하고 헤아리는 배려주의적 특징과 현실을 중시하는 맥락주의적 특징을 함께 갖고 있다. 이런 특징들은 서구 문화에서 볼 수 없는 동북아시아 소통 공동체의 특징으로, 변화하는 미래 세계에 적응할 수 있는 힘의 원천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동북아시아 소통 공동체의 윤리적 특성은 도구적이고 계산적으로 잘못 수용된 서구적 합리성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소통 공동체와 규범
  1. 소통 공동체 규범의 필요성
  2. 소통 공동체 규범의 근거와 역할
 III. 동북아시아 소통 공동체 규범의 현재
  1. 동북아시아 소통 공동체 규범의 양상
  2. 동북아시아 소통 공동체 규범의 특징
 IV. 동북아시아 소통 공동체 규범의 지향 방향
 V.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백춘현 Baek, Choon Hyoun. 민족사관고등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