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지적 사회 심리 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본 예비교사들의 자아와 대학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the self and college awareness of prospective teacher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ocial psychological theory

이인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preliminary in terms of cognitive social psychological theory to examine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s and tries to find suggestions about school education and college education. As the first theoretical background, this article was inspected for acceptability of cognitive components of morality through the balance theory and cognitive consistency(cognitive - emotional coherence) w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motive formation for changes in values and attitudes. Second, this article was inspected for ability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the value of autonomous through the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like cognitive response theory and expectancy - value theory w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for changes in values and attitudes. Finally, this article explore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values and attitudes through the cognitive dissonance theory to an emphasis on personal conduct and moral commitment.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background, this article examines the perceptions of prospective teacher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about the first research question for "To become a good teacher, what do I need to me?", participants in the survey emphasized subject expertise(knowledge), affection and understanding toward students, and confidence, experience, patience. The second question for "To train good teachers, what do you expect in college?", they emphasized enhancement and improvement of teaching practice, a variety of experiences, and diversification and systematization of the curriculum. As mentioned above, prospective teachers must emphasize the integrative(cognitive - emotional - behavioral) aspects. Nevertheless the current higher education for prospective teachers aims to provide in-depth knowledge throughout content-oriented courses in various majors. Therefore, demonstration lessons, experience, training courses are quite insufficient. But if our students really want to expect the formation of moral values and attitudes, educational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personality to prospective teachers must be increased.

한국어

본 글은 인지적 사회 심리 이론의 관점에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학교 현장 교육 및 대학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첫째, 가치 및 태도 변화의 동기 형성과 관련이 깊은 균형 이론과 인지적 일관성(인지-감정 일관성) 이론을 통해 도덕적 감정 및 선호 감정을 통한 도덕의 인지적 요소 수용 가능성을 살피고자 했다. 둘째, 가치 및 태도 형성의 과정과 관련이 깊은 인지적 반응 이론, 기대-가치 이론 등 인지적 정보 처리 접근을 통해 자율적인 가치 판단 능력 증진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행위 및 도덕적 개입을 중시하는 인지부조화 이론을 통해 가치 및 태도의 변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상기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글에서는 향후 학교 현장에서 도덕 교육을 담당하게 될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훌륭한 교사가 되기 위해 예비교사로서 나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이라는 첫 번째 인식 조사 결과, 조사 대상들이 공통적으로 중시한 항목은 교과전문성(지식), 학생에 대한 이해와 학생에 대한 애정, 자신 있는 수업 능력 및 경험과 근면성실 등이었다. “훌륭한 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대학에 바라는 점은?”이라는 두 번째 인식 조사 결과, 조사 대상들은 실습의 증대와 개선, 다양한 경험, 커리큘럼의 다양화와 체계화 등을 들었다. 예비교사들은 자신에게 필요한 점 및 대학에 바라는 점에서 공히 인지-정의-행동의 통합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비교사들에 대한 현행 대학 교육은 다양한 전공의 교과 내용학 중심의 강좌를 통한 심층적 지식 제공을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현장 중심적인 수업 시연 및 체험․실습 강좌가 상당히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진정한 도덕적 가치와 태도 형성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들에 대한 교육적 지원 역시 통합적 인격 발달에 기여할 수 있는 측면을 증대할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 인지 사회 심리 이론
  1. 균형 이론과 인지적 일관성 이론
  2. 인지적 정보 처리 접근
  3. 인지부조화 이론
 Ⅲ. 예비교사들의 자아 인식
  1. 인식 조사 결과
 Ⅳ. 예비교사들의 대학 교육 인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인정 Lee, In-Jeong. 한국교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