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emal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filial piety by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filial piety. 20 female college students conducted a paired-comparison rating on 13 contents of filial piety and 183 students rated the importance of each statement describing filial piet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ilial piety were perceived by two primary dimensions: emotion-focused versus behavior-focused. Second, filial piety was categorized as 'caring', 'respect', and 'supporting. Third, participants rated 'caring', 'respect' more important than 'supporting'. Implication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concept mapping) 방법을 통해 효에 대한 여자대학생들의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효의 13가지 개념을 구성하여 문항을 만들고 20명의 여자대학생들이 13가지 효의 개념을 두 개씩 짝지어서 유사성을 평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유사성 평정자료를 가지고 다차원 척도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효에 대한 여학생들의 인식을 탐색한 개념도를 도출하였다. 또한 183명의 여자대학생들이 13개 효의 개념에 대해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여자대학생들은 효에 대한 의미를 크게 정서적 측면에서의 효와 행동적 측면에서의 효로 구분하여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13가지 효에 대한 중요도 평정 결과, ‘부모에 대한 사랑 및 애정을 표하는 것’, ‘부모님을 즐겁게 하는 것’, ‘부모님에게 존경을 표하는 것’과 관련된 정서적 측면에서의 효를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효의식과 효의 내용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논의를 제시하였다.
목차
Ⅰ. 서론
1. 효의 중요성과 효 의식 재정립을 위한 노력
2. 효 개념과 관련된 경험적 연구들
Ⅱ. 연구 방법
1. 연구참여자
2. 연구절차
Ⅲ. 결과
1. 다차원척도 분석 결과
2. 효 개념의 하위 중요도 평정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