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복 유형에 따른 선호배색 비교연구

원문정보

김선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gnitive evaluation and preferences of traditional co1or coordination for hanbok styles: both traditional hanbok and saengwhal hanbok styles. In order to execute this study, 14 co1or combinations were selected as the main types of co1or combination based on the opinions of experts, and were developed into a set of stimuli for the study. The research was implemented by normative-descriptive survey method using a questionnaire and stimu1us. The sample consisted of 360 adult men and women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olors of the hanbok considered to be most traditional were found to be saekdong jacket and deep red skirt. There was a difference in opinions about preferences of co1or coordination when designing a hanbok according to different genders and age groups. 2. The results found that consumers feel a co1or coordination of deep red and green to be more traditional. There were differences in preferences of traditional color coordination according to age and gender. 3. An evaluation of what types of co1or coordination are considered traditional found that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traditional Korean clothes and the saengwhal hanbok. For traditional costumes the subjects preferred a green jacket with a deep red skirt and for the saengwhal hanbok, they preferred a bright pink jacket over a deep blue skirt. 4. Groups of different ages had different co1or coordination preferences and hanbok sty1e preferences. In conclusion, there is a need for a more subdivided marketing strategy to enhance consumer satisfaction.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design application and collecting further data on co1or coordination for designing hanboks.

한국어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20세부터 49세까지의 성인 남 · 여 360명을 대상으로 한복유형에 따른 한복색과 배색의 선호도 평가를 실시하고자 설문지와 자극물을 이용한 조사연구법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마와 저고리를 기본으로 구성되는 여자한복을 전통한복과 생활한복 유형으로 나누어 한복배색에 관한 전통성 인지도와 배색선호도에는 한복의 유형별로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PC+ 프로그램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사용된 분석방법으로는 빈도와 백분율, 산술평균,t-test, ANOVA 및 사후검정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느낌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한복색명에 대한 개념을 평가 결과 연령별, 성별 집단 간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전체적으로 다홍색과 색동이 가장 높은 전통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복의 색명에 대한 연령별 선호도를 비교한 결과 까지 색상(녹색, 옥색, 다홍색, 송화색, 남색, 자주색, 색동)에 대해 연령별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배색의 전통성 평가를 위해 자극물로 제작된 전통한복과 생활한복 두 유형에 적용된 14가지 배색물을 평가한 결과 녹색과 다홍색, 송화색과 남색, 옥색과 남색, 황색과 남색 배색에 대해 전 연령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넷째 한복 유형에 따른 배색 선호도의 차이를 알아 본 결과 14가지 배색 가운데 까지 배색(연분홍남색, 녹색-다홍, 황색-다홍, 옥색-남색, 옥색-자주, 옥색아청,색동2-다홍)에 대해 연령별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한복디자인의 배색 사용의 중요성과 소비자 중심의 디자인 개발 및 마케팅 분야에 기초자료 제시함으로서 한국의 대중화와 한복 소비자의 만족도 향상을 도모하고 한복업체의 디자인전개 및 마케팅 전략수립에 필요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서 한복디자인과 한복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한복 배색에 관한 선행연구
  2. 한복의 선호배색에 관한 선행연구
 III. 연구방법 및 절차
  1. 조사대상
  2. 조사도구 및 분석방법
 IV. 결과 및 고찰
  1. 한복색명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2. 한복 유형에 따른 배색의 전통성 인식
  3. 한복 유형에 따른 배색 선호도 평가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선아 Kim, Sun Ah. 원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디자인산업전공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