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一般論文】

<閑中錄>에 나타난 實記文學的 성격 Ⅶ* -정조의 생애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Characteristics of Documentary Literature in <Hanjungrok> Ⅶ -Focusing on the Life of Jungjo

<한중록>에 나타난 실기문학적 성격 Ⅶ-정조의 생애를 중심으로

정은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nsists of four pieces of writing written over 10 years (age 61, 67, 68, 71) by Hyegyunggung Hong, the crown princess of the Crown Prince Sado who had died trapped in a rice chest during Yeongjo period, titled in future generations.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after the introduction of in the academic world, but different views of name and theory of style are still not coming together. This writer has named the work as ‘court documentary literature’ created with the court as the background, as a subordinate concept of 'documentary literature' in which historical characters or events are sublimated to literature; and has compared and examined historical records and works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court documentary literature. This paper explored the possibility as a documentary literature by contrasting Jungjo, the son of Hyegyunggung Hong who is the writer if , with the literature an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Jungjo was born in Yeongjo year 28 (1752) September 22, as the second son of the Crown Prince Janghun and Hyegyunggung Hong. The qualities of a sage king shown in various anecdotes from birth throughout the growth process could be confirmed as well in or 󰡔The Annals of Yeongjo󰡕 and 「Jungjo Haengjangmun」. The practice of Yeongjo year 37 (1761) March 18 when he was 10, the selection of Kim Si-mook's daughter as the granddaughter-in-law from initial selection on October 29 to third selection on December 22, and auspicious ceremony on February 2, Yeongjo year 38 (1762) when 11 were all briefly recorded in 󰡔The Annals of Yeongjo󰡕. Yet in , there are detailed descriptions of heartbreaking contents in which they could not completely be happy due to the conflict between Yeongjo and the Crown Prince. Also, the event in Yeongjo year 38(1762) lunar May 21 in which the Crown Prince Sado died trapped in a rice chest was recorded very briefly in 󰡔The Annals of Yeongjo󰡕. Even though the death of the Crown Prince was a significant event in the court society, it was described briefly because in the late years of Yeongjo, the misdeed related to his father's death was kept from being handed down to posterity. However, in , the cause and result of the Crown Prince Sado tragedy are recorded in detail, delivering the hidden truth that could not be open in public records, making it possible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documentary literature. Yeongjo year 52(1776) March 5, Yeongjo died; and on March 10, Jungjo ascended the throne as the 22nd King of Joseon at the age of 25. After ascending the throne, he claimed, “Oh! I am the son of the Crown Prince Sado," proclaiming to the whole world that his birth father was the Crown Prince Sado while he was the legal son of his uncle. He was an excellent monarch, appointing fit persons with Tangpyeongchaek, establishing Gyujanggak to develop Silhak and realizing cultural politics. Also, in Jungjo year 13 (1789), he moved his father's grave, Youngwoowon, to Suwon (Hyeongroong) and visited every year to pray. Jungjo year 19 (1795) was the 60th birthday of his father (January 21) and mother (June 18). Eulmyowonhaeng, held from February 9 to 16, was due to his love toward his parents in celebrating his mother's 60th birthday as well as comforting his father's soul full of resentment. All of the schedule were recorded in 󰡔The Annals of Jungjo󰡕; but in , the procedures of all events held for 8 days are described in detail, making it a precious source for court custom. 24 years on the throne (1800) in June 18, Jungjo suddenly died at the age of 49 while achieving the golden age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with excellent capability. After that, the son (Soonjo) succeeded to the throne; but he was so young that regency by the queen mother began. The Byeokpa force on the side of the Queen at the time purged Shippa force and Silhak scholars focusing on Namin, with an excuse of prohibition of Catholicism. At the time, Hyegyunggung's younger brother Hong Nakim was pointed as a magnate of Shippa, leading to the collapse of the maternal side family of Jungjo. The mother, Hyegyunggung, reminded the little king of his father Jungjo's love for parents, leaving the second and third pieces at the age of 67 and 68 in order to let her grandson know of the truth about various events related to her home.

한국어

<한중록>은 영조 때에 뒤주에 갇혀 죽은 사도세자의 비인 혜경궁 홍씨가 10년(61, 67, 68, 71세)에 걸쳐 쓴 네 편의 글을 후세에 제목을 붙인 작품이다. <한중록>이 학계에 소개 된 후 다양한 연구가 있었지만 명칭과 양식론에 대한 이견은 합일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필자는 역사적인 인물이나 사건이 문학으로 승화 된 ‘실기문학’의 하위 개념으로 궁중을 배경으로 생성된 작품을 ‘궁정실기문학’이라고 명하고 역사 기록물과 작품을 비교 검토하여 궁정실기문학의 특성을 확인하는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중록>의 작자 혜경궁 홍씨의 아들 정조의 생애를 작품과 󰡔조선왕조실록󰡕과의 대비를 통하여 실기문학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정조는 영조 28년(1752) 9월 22일 장헌세자와 혜경궁 홍씨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탄생과 어린 시절의 일화에서 장차 성군이 될 자질이 있었음을 <한중록>이나 󰡔영조실록󰡕, 「정조행장문」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10세인 영조 37년(1761) 3월 18일의 관례와 10월 29일 초간택부터 12월 22일 삼간택에서 김시묵(金時黙) 딸을 세손빈으로 간택하는 과정, 11세인 영조 38년(1762) 2월 2일의 가례(嘉禮)는 󰡔영조실록󰡕에는 간략하게 기록되었다. 그러나 <한중록>에는 영조와 세자의 갈등으로 기쁨을 온전히 할 수 없었던 가슴 아픈 내용이 자세하게 기술되었다. 영조 38년(1762) 7월 24일, 정조는 아버지를 대신하여 동궁(東宮)으로 책봉되고 13세가 되는 갑신년(영조 40년) 2월 20일에 큰아버지 효장세자(후일 진종)의 후사(後嗣)가 되었다. 영조로서는 손자가 죄인의 아들이라는 악재를 제거하기 위한 현명한 처사였지만 어머니는 ‘갑신처분’으로 자식을 빼앗긴 아픈 사연을 여러 차례 기술하였다. 24세인 영조 51년(1775)년 12월, 영조가 세손에게 대리정사를 하도록 하였을 때 홍인한(작자의 중부)이 적극적으로 반대한 것을 당시의 기록이나 현재의 역사가들은 개혁정신을 지닌 정조가 등극하면 기득권을 잃을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라고 평한다. 그러나 <한중록>에는 영조가 노년으로 헛소리를 자주하던 때이고 전일 사도세자가 대리정사를 했을 때 부자간의 갈등이 더욱 깊어지게 되었던 과거의 일이 재현될까 두려워 자신이 적극 반대하도록 중부에게 부탁했다고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영조 52년(1776) 3월 5일 영조가 승하하여 3월 10일, 정조는 25세에 조선조 22대 왕으로 즉위하였다. 즉위 직후 “아! 과인은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아들이다.”하여 법적으로는 큰아버지의 후사(後嗣)지만 생부는 사도세자임을 온 천하에 공포한다. 즉위 후 탕평책으로 인재를 고루 등용하고 규장각을 설치하여 실학을 발전시키는 등 문화정치를 실현하는 훌륭한 군주였다. 또한 정조 13년(1789)에는 아버지의 묘소인 영우원을 수원(현륭(顯隆)으로 옮기고 해마다 직접 참배하는 효자이기도 했다. 정조 19년(1795)은 아버지(1월 21일)와 어머니(6월 18일)의 회갑 년이었다. 2월 9일에서 16일까지 거행한 을묘원행(乙卯園行)은 어머니의 회갑을 축하하고 한 많은 아버지의 영혼을 위로하려는 효심에서였다. 당시의 모든 일정이 󰡔정조실록󰡕에도 기록되었지만 <한중록>에는 8일간 거행되었던 모든 행사의 절차가 세밀하게 기술되어 궁중풍속의 귀중한 자료가 된다. 재위 24년(1800) 6월 18일, 정조는 우수한 역량으로 조선 후기 황금시대를 이룩하던 중 49세로 갑자기 승하하였다. 그 후 아들(순조)이 왕위를 계승했으나 나이가 어렸으므로 대왕대비의 수렴청정(垂簾聽政)이 시작되었다. 당시 대비 측의 벽파 세력은 천주교 금지를 명분으로 남인계 중심의 시파세력과 실학자들에게 일대 숙청을 가하였다. 이 때 혜경궁의 동생 홍낙임이 시파의 거두로 지목되어 정조의 외가는 몰락하게 된다. 어머니 혜경궁은 어린 왕에게 아버지 정조의 효심을 상기 시키면서 친정과 관련된 여러 사건의 진실을 손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67세와 68세에 붓을 들어 작품 2편과 3편을 남긴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실기문학으로서의 〈한중록〉
  1. 탄생과 성장과정
  2. 임오년의 가례(嘉禮)와 화변(禍變)
  3. 갑신처분(甲申處分)과 대리정사(代理政社)
  4. 조선조 22대 왕으로 즉위하다
 III. 맺음말
 [參考文獻]
 

저자정보

  • 정은임 Chung Eunim. 강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