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성격유형별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 한국형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search on academic personality self-efficacy : Based on personality types of Korea Enneagram

최연택, 하채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understanding if there is a difference in academic personality self-efficacy depended on the type of personality, second, analysing if there is a difference in students' career decision depending on the type of personality, third, analysing the impact o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academic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depended on the type of personality and the purpose is applying it on career guidance and academic counseling for students. S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during the vacation were subjects of conducted survey papers and based on that survey was analyzed the result.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ity type are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3 types, most of them is intestine type personality, often the nature of these personality is usually serious, focused on the truth or reality and well-disciplined. The second largest is the chest type personality, even being on vacation still preparing for the future employment is showing honest attitude in working on education. Second, for the entire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in analysis of personality differences there was found difference only in self-regulation, depended on the type of personality. These results for the self-controlled efficacy studies shows that the way of studying can be vary on the personality. Third, the whole nature of academic self-efficacy non-influence's result is p=.701 and it shows that the resul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pended on the person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e academic difference of recognition on the personality type approach and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study methods and academic guidance are necessary to the individual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성격유형에 따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차이가 있는지 둘째, 성격유형에 따라 학생들의 진로결정여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셋째, 성격유형에 따라 개인적 특성과 진로결정여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진로지도와 학습상담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S대학교 재학생 중 방학 중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유형 하위유형 3개의 분포를 보면 장중심형이 가장 많으며, 이들의 성격은 대개 진지하며, 진실하거나 현실에 초점을 두고 선천적으로 규율을 잘 지키는 사람들이다. 두 번째로 많은 가슴중심형은 현실적으로 방학이지만 장래 취업을 위해 성실히 학업에 임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전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성격유형별 차이분석에서 자기조절효능감에 있어서만 성격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자기조절효능감에 대한 설문 구성이 주로 공부 방법에 대한 것으로 성격에 따라 공부하는 방법이 달리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전체 성격유형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결과 p=.701로 통계적으로 무의미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같은 결과는 성격유형에 따라 학업에 대한 접근방법과 학업에 대한 인식의 차가 있음을 의미하는 결과로 공부 방법 및 학업지도에 대한 개별적 접근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목차

초록
 I. 서론
 Ⅱ. 이론적 논의
  1. 성격유형이론
  2. 성격유형과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Ⅲ. 연구방법론
 Ⅳ. 분석결과
  1. 설문응답자의 특성
  2. 설문응답자의 성격유형
  3. 성격유형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연택 Yeon-Taek Choi. 선문대학교 총장 비서팀장
  • 하채수 Chae-Soo Ha. 선문대학교 인적자원개발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