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노래로서 가사의 본모습 찾기

원문정보

A Survey of searching for the GASA's true face

윤덕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urvey, I have verified the exemplars of entertaining GASA works at the contemporaly years of it's production and have corrected the past views on GASA's genre. The main exemplar is HONG DAE-YONG's who travelled China in the year of 1765, and sang the works of GASA as he past across the borderline of the YALU river. He called this song as “Mad song” which means the sprit's integration over the reason's control. The complication of GASA's genre theories has been arisen through the regulation of the song's boundary in incorrect way. GASA's original meaning is the words of the song. Although that words are long enough for the prose works, those are only the song's words as long as those are sung. The condition that GASA's works should be sung makes the propsition that “GASA is one kind of song” unchangeable. Korean old songs have various kinds of performing ways- singing, reciting, and dictating. Many Korean old songs have the musical scores which are performed with various musical instruments. In this case, we need not hesitate to call that performances as songs. But, in many cases the songs have not any score and are performed without any instrument. They are only recited with a certain rythme, which has the changing tones-high, even, low. Koreans have named them songs, and their naming of song have been extended to the dictating of the works in prose. The dictation of the novel had some rhythmical patterns similar to the reciting. SONGSEO( the dictating of the novel) is the one kind of song in Korean old song's convention. I think, the resolution in which genre GASA belongs is not important to clarify the GASA's essential character.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e way of performing GASA's works and the entertainer's reception of GASA genre. And I think that GASA's performing belongs to the song, and the length of works is not necessary condition for determining their genres.

한국어

가사가 노래라는 명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향유 당대의 사례를 검증하고 근래의 연구 시각- 특히 장르론과 관련된 세부 사항들을 교정해보았다. 담헌 홍대용은 18세기 시가사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 이의 가사에 대한 인식과 직접 가사를 짓는 정황을 통하여 가사가 즉발적인 감흥에 의지하는 노래로서의 성격을 지님을 확인하였다. 가사 장르론의 혼잡은 원래 노래로서 인식되던 대상을 다르게 규정함으로써 일어난 것인데, 이를 바로 잡는 일은 노래의 범주 설정을 다시 하는 데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했다. 노래는 반드시 악곡을 수반하는 정격 가악을 지칭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감흥이 실린 상태의 표출 행위- 낭음이나 또는 낭독(소설 같은 서사물을 대상으로 할 경우)까지 아우르는- 전반을 포괄할 수 있다. 운문으로 들어나는 모습이 노래인 증좌라고 할 때, 노래이어서 운문이냐, 아니면 운문이어서 노래이냐 라는 선후 관계도 노래를 어디까지 보느냐에 따라 손쉽게 가려진다. 우리 시가의 긴 노래 가운데에는 산문적인 요소가 다대하다. 장편 악장, 서사무가, 그리고 소설 낭송(송서)에 이르기 까지 줄거리나 서술 방식에 서사성을 간직하고 있으면서도 이를 노래라고 부르는 데에 거리낌이 없었다. 이들을 짓고 즐기는 과정에는 짧은 노래에 대하는 것과 마찬가지인 감흥의 유출 경로가 개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같은 대상이라고 하더라도 그를 가사로 노래할 경우에는 이지적인 거리가 아니라 감성적인 동화가 개재한다. 홍대용은 이런 상태를 “미친” -곧 이성적 제어를 벗어나 정신의 통합 상태에 이른 것으로 인식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담헌(湛軒) 홍대용의 경우에 비추어 본 가사 향유의 실상
 3. 지나간 가사장르론의 어긋난 곳 바루기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덕진 Youn, Dug-jin. 연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