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시대 규훈서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기대와 경계

원문정보

The expectaion and caution of the woman on the Kyuhunseo in Chosun dynasty

황수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concerns about the writer, contents, the form of description,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Kyuhunseo(閨訓書) which is written to educate the woman by the nobleman in the 15th Century to the 18th Century in the Chosun Dynasty. The Chosun Dynasty took the lead in importing the Kyuhunseo from China and in publishing to establish the patriarchal system through the courteous control by educating the woman. The nobleman who were a scholar and a head of household wrote the Kyuhunseo to suggest virtues and daily guidelines for their wives, daughters and sisters. Because there was a sharp rise in demand of Kyuhunseo, various types of writing of Kyuhunseo have increased. I suggested the new Kyuhunseo including Kim Koing Pil's which have naver been mentioned in the precedent research and changed the product time earlier. The contents of education differs by the ideology and the value and the system of the day wants. As a result of studying the Kyuhunseo, the itemes of the Kyuhunseo increased because the responsibility and the woman's bounden duty has strengthened by the change of the marriage system in the 17th Century and the 18th Century. Although the Kyuhunseo was made to appeal the clear purpose, they have distinct individuality through the writer's and the object's personal status and situations and the time. The nobleman wanted to control the woman's thought by connecting the abstract concepts to the concrete daily doing through the Kyuhunseo. The nobleman asked the woman to adopt the house and the social system amenably and stood upon their guard on the woman not to derange the social order constantly. The Kyuhunseo of the 19th Century and the 20th Century were made on the different purpose of the 15th Century and the 17th Century's, so I'm going to keep up my study to reveal the continuous and the changeable aspects by surveying the Kyuhunseo historically.

한국어

본고는 15세기부터 18세기 조선사회에서 사대부 개인이 ‘여성’을 ‘교육’하기 위해 제작한 ‘규훈서’를 대상으로 작가와 내용, 서술 방식, 기능과 역할 등을 살피기 위해 작성되었다. 예치(禮治)를 통해 가부장제 권력을 확립하고자 한 조선왕조는 여성을 교육하기 위해 중국에서 책을 수입하거나 국가에서 발간하는 일에 앞장섰다. 학자이면서 한 집안의 가장으로서 사대부 작가는 집안의 딸과 아내, 누이동생에게 유교적 덕목과 일상의 행동 지침을 제시하기 위해 규훈서를 제작하였는데 17세기와 18세기에 이르러 규훈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여러 문체를 이용한 다수의 작품이 지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김굉필의 규훈서를 비롯하여 이전에 소개되지 않았던 작품을 제시하였고, 개인 창작 규훈서의 등장을 기존 연구에서 밝힌 시기보다 앞선 시기로 수정하였다. 교육의 내용은 당시대가 요구하는 이념과 가치, 제도에 따라 달라지기 마련이다. 규훈서의 내용을 살펴본 결과, 조선 초기에 비해 17,18세기에는 결혼제도의 변화로 인해 여성에게 부과되었던 책임과 의무가 무거워지며 이에 따라 규제가 강화됨으로써 규훈서의 항목도 다양해짐을 알 수 있었다. 규훈서는 분명한 목적에 의해 지어진 글이지만 작가와 대상의 개인적 처지, 상황, 시기에 따라 개성적 면모를 드러내기도 한다. 남성들은 규훈서를 통해 추상적인 담론을 일상생활에서의 구체적 실천과 연결함으로써 여성의 사고 영역을 지배하고자 하였다. 남성들은 여성에게 유순하게 가정과 제도에 적응할 것을 ‘기대’했고, 질서를 어지럽히지 않도록 끊임없이 ‘경계’했다. 본고에서 다룬 시기 이후에 등장하는 규훈서는 17,18세기와는 다른 목적에서 제작되는데 규훈서를 사적으로 조망하는 작업을 통해 규훈서의 지속적 측면과 변화된 면모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작가와 작품 개관
 3. 규훈서의 내용과 서술방식 분석
 4. 규훈서의 기능과 역할: 여성에 대한 기대와 경계
 5.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수연 Hwang, Su-yeon. 이화여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