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682년 한일 문사 교류 담당층의 확립과 소통의 확대

원문정보

About Establishing the Class of the Literary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 in 1682

구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pildam-changhwa-jip(bookofresponsorywritings) of the 1682 Imsul Visit as the subject of study, this paper traces the course by which the class in charge of exchanges with Joseon becomes established and considers the communication method involved, and there by investigates the specificfacts of the exchanges of literary men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confirm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desire of the Japanese rulers for Chinese literary culture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the exchanges of literary men between the two countries. Accordingly, Confucian scholars with the ability to read Chinese classics were assigned to the Han(domains) and the bakufu(shogunate) and they served as proxies for the responsory writings; from the Joseon side, Jesulgwan(officials in charge of writing) and scribes wrote the replies. Second, with the encouragement of scholarship by the han, the responsory writing topics expanded. The Confucian scholar class in Japan had to bewell-read not only in the Confucian classics but also in a variety of Chinese literature including botany, and consequently, knowledge of diverse fields emerged as the talking points of the responsory writings with the Joseon men of letters. Third, the possibility of Confucian scholars in general, unaffiliated with the government, participating in exchanges based on school ties was shown. As the Confucian scholar class centered on the Capital School (京學派) became stronger, the possibility of diverse personal exchanges taking place between the literary men of the two countries was shown. Through the 1682 Imsul Visit, the class in charge of the exchanges of literary men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established and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of the responsory writing topics and communication was shown.

한국어

1682년 임술사행의 필담창화집을 대상으로 하여 교류 담당층이 확립되어 가는 과정을 추적하고 소통방식을 고찰함으로써 양국 문사 교류의 구체적 실상을 탐색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일본 유력자들의 한문 문화에 대한 욕구가 양국 문사 교류의 시발점이 되었다. 이에 따라 한문 능력을 갖춘 유학자들이 번과 막부에 소속되어 필담을 대행했고, 조선 쪽에서는 제술관 · 서기 등이 응대했다. 둘째, 藩의 학문 장려에 따라 필담 주제가 확대되었다. 일본 유자층은 유교 경전 뿐 아니라 본초학을 비롯한 다양한 한문 서적을 섭렵해야 했으며, 다양한 분야의 지식이 조선 문사와의 필담 화두로 등장했다. 셋째, 민간의 일반 유자가 학연을 매개로 교류에 참여할 가능성을 보였다. 京學派를 중심으로 하는 일반 유자층이 두터워지면서, 이후 양국 문사 사이에 다양한 개인적 교류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1682년 임술 사행을 통해 양국 문사 교류 담당층이 확립되었고 필담 주제와 소통에 있어서 확대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1682년 양국 교류의 경향
  1. 일본의 한문 문화 욕구와 조선의 대응 : 人見鶴山의 『韓使手口錄』
  2. 藩의 학문 장려에 따른 주제의 확대 : 水戶藩의 『鮮桑筆語』
  3. 학연의 형성에 따른 학문 교류층의 확대 : 柳川震澤의 등장
 Ⅲ.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구지현 Koo, Jea-hyoun. 연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