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텔레비전 방송의 정체성-프랑스 방송 문화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원문정보

Une réflexion sur l’indentité de la télévision coréenne:une analyse comparative de la construction de l’identité télévisuelle en Corée du sud et en France

김설아

한국영상문화학회 영상문화 제16호 2010.12 pp.163-19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a culture de discussion, une des cultures les plus françaises parmi d’autres, a eu une influence sur la formation et le développement de la télévision française. Inaugurée en tant que service d’Etat en 1949 puis devenue service public dès 1959, cette télévision, “inventéé” par les réalisateurs télévisuels de gauche avec l’idée claire d’instruire la population et de l’amener à penser, se concentre sur la production des programmes rationnels et éductifs, c‘est-à-dire bien bénéfiques à l’égard du peuple français. Ainsi les émissions de discussion bien rationnelles et celles de divertissements à la fois éducatives se développent. A l’époque la rationalité n’hésite pas à se manifester même dans les fictions dont les réalisateurs avaient en effet l’intention d’éloigner le téléspectateur de l’émotionnel tout en traitant les sujets bien divers et parfois bien sérieux, lesquels feraient finalement penser et réfléchir face au petit écran. Avce l’idée, ou plut̂ôt le désir des professionnels de construire une télévision aussi culturelle que rationnelle, les programmes progressent et adoptent petit à petit la forme de discussion comme concept basique de production et ce quelque soit leur genre. Bien que les chaînes commerciales apparaissent dès les années 1980, cette culture de “rationaisation” est bien gardée par les 한국 텔레비전 방송의 정체성 195 professionnels de télévision, puis on la voit, cette culture, soutenue et réconfortée par l’Etat qui créent par la suite deux chaînes éducatives et culturelles, France5 et Arte, dans les années 1990. Ainsi la télévision française se constitue comme une “télévision raionnelle”. Contraiement à la télévision française, celle de la Corée progresse vers un model de “télévision émotionnelle” qui est en fait un corollaire du dévéloppement de la télévision commerciale. En effet, la télévision coréenne se dévelppe dès le début selon une logique concurrentielle et se concentre alors sur la production des séries des fictions, dites dramas en Corée, genre qui attire facilement l'attention du téléspectateur et qui attire donc celle des annonceurs également. La télévision coréenne évolue ainsi vers une télévision de divertissement et d’émotion d’autant que l’Etat autoritaire, perdurant jusqu’à la fin des années 1980, interdit toute discussion sociale sur ce petit écran et n’y intervient qu’à l’occasion d’exercer la répression sur les programmes qui dérangent l’autorité étatique. Depuis les années 1990, avec la logique concurrentielle du marché accrue avec la libéralisation, la télévision se concentre essentiellement sur le développement du divertissement qui ne provoque alors que des rires et des pleurs et qui force le public à se plonger dans l’émotion, éléments fondamentaux pour faire augmenter l’audimat. La télévision coréenne se voit constituer ainsi une “télévision d’émotion”, laquelle a tendance de délaisser ses fonctions siociales en tant que lieu de l’affrontement de l’opinion.

한국어

프랑스 고유의 비판적 토론정신, 그리고 교육과 문화보급의 가치를 중 시하는 사회정신은 프랑스적 문화의 형성과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요인들로, 이러한 토론성과 문화적 가치 중시와 같은 프랑스적 지적 전통 문화는 20세기 중반 이후 가장 영향력 있는 사회적 매체로 자리 잡은 텔레 비전의 발전 과정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프랑스 텔레비전은 1949년 국영 텔레비전으로 출발하여 1959년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줄곧 공영방송의 위치를 고수 하였는데, 초기에 프로그램 편성과 제작 방식을 ‘발명’해 가면 서 프랑스적 텔레비전의 얼개를 마련한 이들은 바로 프로그램 제작자들이 었다. 이들 제작자 대부분은, 텔레비전은 시청자로 하여금 생각하도록 만 드는 ‘이성적인’ 프로그램을 방송해야 한다고 여기는 동시에 TV가 문화와 교육의 민주화를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좌파적 의식을 지닌 지식인들이었다. 이러한 방송인들의 문화와 교육에의 지향성에, 방송은 국 가 주도로 운영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민영방송 설립을 불허해 온 국가의 의지가 더해져 공영방송의 기초가 탄탄히 다져졌고, 이 속에서 문화 지향 적이며 ‘이성적인’, 프랑스적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이 발전하게 되었다. 프 랑스 텔레비전은 이렇게 초기부터 ‘이성적 TV’로의 발전 구도를 갖추어 성 장해왔던 만큼 상업적인 민영채널이 들어선 1980년대 이후에도 흔들림 없 이 ’이성적‘ 콘텐츠의 제작ㆍ기획 전통을 이어나가게 된다. 프랑스 텔레비 전이 ‘이성TV’의 모델로 발전해 나간 반면 한국 텔레비전은 ’감성TV‘의 형 태로 발전해 나간다. 1950년대 설립 초기부터 상업 텔레비전 모델에 입각 한국 텔레비전 방송의 정체성 193 하여 성장해 온 한국 텔레비전은 방송사의 생존이 시청률에 걸려 있었던 만큼 그 프로그램 제작과 기획이 시청자의 관심을 가장 쉽게 끌 수 있는 방식인 감정에 대한 호소와 자극 중심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이유로 한국 텔레비전에서는 오락장르와 드라마 픽션 장르가 타 장르에 비해 양 적, ‘질적’으로 두드러진 발전을 이루게 된다. 이후 1990년대 자본개방으로 광고시장의 극대화를 초래한 세계화 정책, 그리고 2000년대 드라마 중심의 ‘한류’ 열풍과 함께 한국 텔레비전은 ‘감성적인 오락TV’로 확고히 그 발전 구도를 굳히게 된다. 반면 1980년대 후반까지 지속된 권위주의적 정권의 방송정책이 ‘사회적 토론장 형성의 억압, 오락의 증진’ 이었던 만큼 한국 텔레비전에게 ‘감성적’인 오락 프로그램의 발전과 비례되는 ‘이성적‘ 프로 그램의 발전을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권위주의적 정권이 물러난 1990년대 이후에는 신경제주의 정책과 함께 방송사들 간의 경제적 경쟁관계가 극대 화되어 방송의 오락성이 더욱 심화되어지고, 결국 한국 텔레비전에게 ‘사 회 문화적 공익추구’ 라는 사회적 매체로서의 임무는 당장은 실현되기 어 려운, 하지만 언젠가는 풀어야 할 추상적인 개념의 과제로 남게 되었다.

목차

1. 들어가며
 2. 프랑스 방송, “이성적 TV” 로의 성장
  (1) ‘사고(思考)를 요구하는’ 텔레비전
  (2) “이성적 TV” 로의 성장 배경
 3. 한국 텔레비전, “감성적 TV” 로의 성장
  (1) ‘웃음과 눈물’의 텔레비전
  (2) “감성적 TV” 로의 성장 배경
 4. 맺으며
 참고문헌
 한글초록
 Abstracts

저자정보

  • 김설아 KIM Soel-ah. 고려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