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최초의 영상기구, 카메라 옵스쿠라의 문화사적 의미

원문정보

The Cultural Meanings of the first optical insturment, Camera obscura, in the pre-modern Age

이상면

한국영상문화학회 영상문화 제16호 2010.12 pp.131-16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cultural meanings of the first optical instrument, Camera obscura, in the pre-modern age, while it explains the development as well as the use of the Camera obscura in Europe and Korea. For this purpose the thesis traces the significant phases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s of the Camera obscura from L. da Vinci, G. B. della Porta, D. Barbaro, A. Kircher to J. Zahn etc. The Camera obscura was not only the symbolic instrument of the modernism in the sense that human being wanted to observe the outer world by himself and to be freed from the viewpoint of the christianity, but also was the forerunner of the modern visual culture, because it first time reproduced the artificial image of the natural world.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box-type reflex Camera obscura had been produced, it began to be used as aid to drawing for painters like J. Vermeer, A. Canaletto and J. Reynolds etc. throughout Europe. It tells the evidence of the close relation between art and technology in the pre-modern age. Around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he Camera obscura was brought to Korea, the closed country of the Fareast, by the scholars of the so-called ‘Realist school’ (Silhak-pa) who went to Beijing to acquire knowledges on the Western science from the European priests. In 1780s 최초의 영상기구, 카메라 옵스쿠라의 문화사적 의미 161 Yak-yong JUNG, one of the representative scholars of the Realist school, experimented the Camera obscura, and then, it was used for sketches of higher aristocrats’ portraits by the supreme portrait painter of that time, Myoung-ki LEE. Those were possible only under the reign of the culturally liberal and reformative King, Jung-jo (ruled 1776-1800), and after his retreatment the inquiry of the Camera obscura had been dimished. It is not a historical coincidence that the Camera obscura could be examined and used in the period of the Enlightment both in Europe and Korea.

한국어

본 논문은 그동안 국내에서 연구가 미흡했던 최초의 영상기구 카메라 옵스쿠라(Camera obscura)를 영상이론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근대문화에 서 그것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르네상스 이후 카메라 옵스 쿠라의 역사ㆍ문화ㆍ과학적 발전과정을 추적하고, 화가들의 미술작업과 연관되며 사용된 사례를 검토한다. 카메라 옵스쿠라의 원리는 중세이후 천문학자들의 개기일식 관찰과정 에서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르네상스 이후 다 빈치와 델라 포르타의 영상 실험, 아타나지우스 키르허, 요하네스 차안 등과 같은 과학자들에 의해 이 론적으로 발전되었다. 17세기 후반에는 ‘휴대용 카메라 옵스쿠라’가 제 시되고 실용화되기 시작했으며, 화가들이 스케치와 드로잉할 때 사용하기 시작했다. 카메라 옵스쿠라는 인간 스스로 世界像을 관찰하려는 점에서 탈 중세적이고 시각중심주의적인 근대 과학정신을 반영하는 매체이며, 자연 세계의 모습을 인공적 이미지로 보여주는 점에서 최초의 영상기구이다. 국내에 카메라 옵스쿠라는 조선 후기 正祖 때 北京을 갔다온 燕行使들 에 의해 유입되었으며, 정약용을 비롯한 서구 학문에 개방적인 실학자들에 의해 적극 수용되었고, 당시 초상화의 대가 이명기는 카메라 옵스쿠라를 이용해서 功臣像을 그리기도 했다.

목차

1. 영상기구의 선조, 카메라 옵스쿠라
 2. 카메라 옵스쿠라의 역사적 발전
  (1) 역사적 발전과정
 3. 카메라 옵스쿠라의 의미
  (1) 역사ㆍ문화ㆍ과학적 의미
  (2) 예술적 의미-카메라 옵스쿠라와 미술
 4. 카메라 옵스쿠라의 한국 유입과 사용
 5. 카메라 옵스쿠라와 근대 과학문화
 참고문헌
 한글초록
 Abstracts

저자정보

  • 이상면 Sang-Myon LEE. 연세대 미디어아트연구소 전문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