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旅軒의 人文 精神과 散文의 系譜

원문정보

Yeoheon's Spirit of Humanities and the Genealogy of his Prose

여헌의 인문 정신과 산문의 계보

안세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focused on analyzing Yeoheon Chang Hyeon-gwang's literary theory and his prose in the genealogy of Confucian scholars in Chosun.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examine the trend of concentrating on 16th century when we treat the literary tendency of Confucian scholars. With this goal, I tried to seek the direction which was pursued by Confucian scholars who lived during the 17th century. Yeoheon tried to construct the spirit of humanities cosmically as an aim of his life, study, and literature. And he had a new understanding of human independence by suffering from Japanese invasion in the late of 16th century. He insisted that only human can realize the spirit of humanities on a cosmic base. He also thought that the morality(道) could be settled only by literature(文). We may interpret this concept as a progressive idea about literature comparing to the former Confucian scholars. On the other hands, Yeoheon tried to accept the literary theory of former scholars such like Park Young, Cho Sik, and Seong Woon who embraced Taoism. Yet he erased the color of Taoism in the field of topic, and he also tried to keep his distance from them in the field of literary form. This concept actually came from Lee Hwang's opinion, while Yeoheon tried to rouse scholar's independence. Through above, we may realize that the Confucian scholars of 17th century were not just imitators of 16th century. They tried to examine the former study and also tried to renew the theory.

한국어

본고는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의 계보 속에서 旅軒 張顯光(1554-1637)의 문학론과 산문이 지닌 특징을 구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는 그간 성리학자의 문학에 대한 연구가 16세기에 집중되었던 것을 반성하고, 17세기 이후 성리학자 문학의 향방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여헌의 삶과 학문, 그리고 문학 전체를 관류하는 지향점은 ‘우주적 차원의 인문 정신’이었다. 여헌은 붕당의 분화⋅대립이라는 정치 구조의 변화와 임진왜란이라는 전쟁을 겪으면서, 우주적 차원에서 인문 정신을 실현해야 할 책임자로서 인간의 주체성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이에 여헌은 文을 통해야만 道가 실현될 수 있다고 보았는데, 이는 16세기 성리학자들에 비해 문의 존재 가치를 보다 강조한 것이다. 여헌은 朴英(1471-1540), 曺植(1501-1572), 成運(1497-1579) 등 노장에 포용적이었던 전대 성리학자들의 산문을 수용하면서도, 주제적으로 노장적 사유를 소거시키고 형식적으로 寓言과는 거리를 두었다. 이는 李滉(1501-1570)의 견해를 수용한 것이었는데, 이황이 산문의 장르에 상관없이 성리학적 개념을 사변적으로 논설하는 데에 주력했다면, 여헌은 구체적 자기 경험을 기반으로 하여 우주적 차원에서 인문의 실현자로서 儒者가 지녀야 할 주체성을 환기시킨 점에 그 특징이 있었다. 이상을 통해 17세기 성리학들의 문학이 결코 16세기의 아류나 硬化에 불과한 것이 아니었으며, 변화된 현실 속에서 전대의 문학적 성취를 반성하고 갱신한 측면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논문요약
 Ⅰ. 문제제기
 Ⅱ. 삶의 지향과 文에 대한 인식 : 우주간의 사업과 인문 정신의 구현
 Ⅲ. 여헌 산문의 계보: 전통의 계승과 변용의 양상
 Ⅳ. 맺음말 : 문학사적 위상을 겸하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세현 Ahn, Se-hyun.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