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칸트의 비판철학에서 취미판단의 선험적 종합성 - 대상판단, 행위판단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Synthetic a priority of Judgement of Taste in Kant's Critical Philosophy - in its relation to the judgement of object and of action -

남정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oth of the judgements, of object which legislate the world of nature through understanding and of action which legislate the world of freedom through practical reason, are synthetic a priori judgement. Demonstrating synthetic a priority of those judgement, had Kant established the possibility of new metaphysics in each of worlds, namely, of nature and freedom. But these two different world still remain as different domain that are dominated by totally different two laws, that are law of nature and of freedom.
Kant had made an attempt to mediate these two different laws dominating metaphysics through the reflective faculty of judgement in his third critique, the Critique of Judgement. This faculty of judgement, which also has transcendental formality like other cognitive faculties of subject, legislates by mediating the domain of nature and freedom through concept of purposiveness. By showing this mechanism of the faculty, had he thought that would be possible to establish on the one and only ground of new metaphysics. In this respect, must the judgements of taste, which are made by reflective faculty of judgement, also have the synthetic a priority. Therefore a judgement of taste is synthetic a priori judgement, which is made about the accompanied feelings of pleasure or unpleasure when judgement of object or action is on making, and its concept of predicate is of cocepts of taste. These judgements are a priori because their subject terms are originated in the transcendental mechanism of the relation of imagination and understanding, and are also synthetic because their predicate terms are sythesized by the concepts which is delivered through the effects of reflective faculty of judgement.
A remained problem is of that how judgement of taste could get the universal validity. Kant had tried to solve passively by choosing the way of that the 'common senses' of the cognitive subjects which communicate those synthetic a priority of the judgements of tastes.

한국어

칸트의 비판철학에서 오성에 의해 자연세계를 입법하는 대상판단과 이성에 의해 자유세계를 입법하는 행위판단은 공히 선험적 종합판단이다. 칸트는 심의능력들의 관계를 통해 대상판단과 행위판단의 이와 같은 선험적 종합성을 증명함으로써 자연과 자유의 영역에서 새로운 형이상학의 가능성을 수립했다. 하지만 자연과 자유의 세계는 서로 다른 법칙이 지배하는 영역으로 남아 있다.
하지만 칸트는 󰡔판단력 비판󰡕에서 판단력이 자연과 자유를 목적의 개념에 따라 매개하여 입법하는 능력임을 보임으로써 자연과 자유의 형이상학을 하나의 지반 위에 세우고자 했다. 따라서 반성적 판단력의 작용을 통해 결과하는 취미판단 역시 선험적 종합성을 지니는 것이 되어야 했다. 취미판단은 대상판단과 행위판단을 내리는 중에 수반된 쾌․불쾌의 감정에 관해 내려지는 판단이며 그 술어로 취미의 개념이 자리하게 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취미판단의 주어는 상상력과 오성의 관계라는 선험론적 기제에 따르는 것이므로 선험적이며, 그 술어가 반성적 판단력이 고안해 낸 ‘아름다움’의 술어가 결합된다는 점에서 종합적이다.
문제는 감정의 주관성과 그에 따른 취미의 술어가 어떻게 객관적인 보편성을 갖는가 하는 점이다. 칸트는 이 문제를 여러 주관들이 이러한 취미의 선험적 종합성에 관한 전달가능성의 기제, 즉 공통감을 통해 소극적으로 해결하려 한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대상판단에서의 인식능력들
 3. 행위판단
  3.1. 사변이성 vs. 실천이성
  3.2. 실천이성과 의지의 관계
  3.3. 행위판단의 선험적 종합성
 4. 취미판단의 선험적 종합성
  4.1. 판단력 - 오성과 이성의 매개
  4.2. 판단력의 표상과 인식능력들의 작용
  4.3. 취미판단의 선험적 종합성과 전달가능성의 문제
  4.4. 취미판단의 지위
 5.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남정우 Nam, Jung-Woo.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