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피인용수 : 0건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목차
1. 시작 - 안병무의 두 민중 이해
2. 민중신학 민중론의 독특성 고찰 - 안병무의 '오클로스'와 서남동의 '한'(恨)의 개념을 중심으로
3. 민중론의 역사적 고찰 - 민족적 민중에서 오클로스적 민중으로
1) 군부권위주의 시대, 민족공동체 and/vs. 민중
2) 민주화-소비사회화 시대, 민족공동체의 분열 그리고 민중
3) 지구화 시대, 구조화된 광범위한 오클로스의 출현
4. 맺음 - 오클로스의 신학, 그 과제
국문초록
2. 민중신학 민중론의 독특성 고찰 - 안병무의 '오클로스'와 서남동의 '한'(恨)의 개념을 중심으로
3. 민중론의 역사적 고찰 - 민족적 민중에서 오클로스적 민중으로
1) 군부권위주의 시대, 민족공동체 and/vs. 민중
2) 민주화-소비사회화 시대, 민족공동체의 분열 그리고 민중
3) 지구화 시대, 구조화된 광범위한 오클로스의 출현
4. 맺음 - 오클로스의 신학, 그 과제
국문초록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