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문화가정의 의류관련 제품 사용 실태와 관리에 관한 질적 연구

원문정보

A Qualitative Research on Using & Management of Clothing in Multicultural Families

이윤정, 정찬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ality and the difficulties faced by 16 women of four different nationaliti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 heating and cooling wear due to climatic difference, portage of formal wear in special occasions, accessories, purchase and management of clothing, use of cosmetics and coiffure. This research is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and final outcomes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regarding clothing behaviour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climate, interviewee originating from cold regions had high cold resistance and did not wear long underwear. In contrast, interviewee from warmer regions tend to wear long underwear and they preferred top wear to bottom wear. Secondly, in special occasions, most of the interviewees wore formal dress or decent clothing rather than traditional cloth or HanBok. In other occasions they preferred wearing casual clothing. Thirdly, regarding the use of accessories, only a few interviewees showed great interest, but most of them usually did not wear accessories due to their children and only put accessories in special occasions. Fourthly, the majority of interviewee purchased clothing in large-scale discount store, market and underground store. Size and frequency of expenditure on clothing diffe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existence of children and the level of interest in fashion. However the expenditure on clothing had low dependence with the level of household income. Fifthly, the interviewee used laundry machine mostly with powder detergent. Most of them used softner and drying clothing showed similarity with that of Korean families. Sixthly, regarding cosmetics use and purchase behaviour, the interviewee showed great interest in foundation make up, anti-aging and whitening. Cosmetics used were mostly Korean and they were pruchased in cosmetics store, department store, large-scale discount store, via internet and mail order. Seventhly, the interviewee periodically visited hair shop and the frequency ranged from monthly to yearly and the expenditure on coiffure differ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visit. About 25% of them did perm and most of them kept their hair straight. However there were quite a number of the interviewee who dyed.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es were faced with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heating/cooling through clothing and also they were faced with limitation in shopping due to lack of information. The research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information relating to the types and use of detergent, cosmetics and coiffure.

한국어

이 연구는 우리나라와 기후가 다른 4개국 16명의 다문화가정 여성을 대상으로 환경기후의 차이에 따른 냉난방 현황, 착의실태, 상황에 따른 의복 착용, 액세서리 착용, 의복구매, 의복 관리 등 의생활실태 전반을 비롯하여 화장 및 헤어 관리의 실태와 문제점들을 살펴보기 위해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면접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기후의 차이에 따른 착의실태 현황을 살펴보면, 추운지방출신은 내한성이 우수하여 내복을 입는 경우가 거의 없었으며, 더운 지방 출신은 겨울 착의량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착의량 조절은 내의보다는 외의로 하의보다 상의에 더 의존하였다. 둘째, 상황에 따른 옷차림은 고유의상이나 한복을 거의 착용하지 않았으며, 외출 시나 행사 참여 시에는 정장이나 가지고 있는 의복 중 단정한 것을 골라 입었고 일반 외출 시에는 캐주얼 차림을 선호하였다. 셋째, 액세서리류의 착용 실태에서 신발은 개인에 따라 신발의 종류와 개수에 차이가 많았고, 장신구의 경우에도 소수의 참여자가 관심이 많았으며, 대다수는 아이 때문에 평소에는 거의 착용하지 않고, 외출 시나 행사에 참여할 때만 착용 하였다. 넷째, 의복 구매 실태는 대형할인매장에서 가장 많이 구입하고, 시장, 지하상가 등에서 구입하였다. 의류비의 지출비나 구입 횟수는 가족 수, 패션에 대한 관심 정도, 자녀가 여부 등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가계 소득과는 상관이 낮았다. 다섯째, 의복관리 실태는 세탁은 세탁기를 이용하고 있으며, 세탁기용 세제로는 분말세제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대부분 섬유유연제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건조형태는 우리나라 가정에서와 유사한 모습을 나타내었다. 여섯째, 화장품 사용 및 구매 실태는 기초화장이나 노화방지에 관심이 많고, 피부색 특히 미백에 신경을 쓰고 있었다. 화장품을 구매 장소는 화장품가게, 백화점, 대형마트, 인터넷, 통신판매 등이고, 대부분 우리나라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다. 일곱째, 헤어 관리 실태에서 머리 손질은 주로 미용실에서 주기적으로 하고 있으며, 파마는 25%정도만 하고 대부분은 생머리였다. 반면 염색을 하는 여성의 숫자가 더 많았다. 미용실 방문 횟수는 1달에 1번부터 1년에 1번까지 개인적인 편차가 컸으며, 이에 따른 미용비용의 지출도 편차가 컸다. 다문화가정 여성들은 달라진 환경 속에서 냉난방이나 착의량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으며, 착의 습관이 다르고, 구매 장소나 방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쇼핑에도 제한이 따랐으며, 세제의 종류 및 사용법 등에 대한 교육과 화장품과 헤어관련에 대한 정보 제공 및 교육의 기회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및 절차
  3. 자료 분석
 III. 연구의 결과
  1. 환경기후의 차이에 따른 착의실태결과 고찰
  2. 상황에 따른 옷차림
  3. 소품 착용 실태
  4. 의류제품 구매 실태에 관한 고찰
  5. 의복관리 실태
  6. 화장품 사용 및 구매 실태
  7. 헤어 관리 실태
 IV.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윤정 Lee, Yun-Jung. 경인교육대학교
  • 정찬주 Jung, Chan-Joo. 신구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