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삼킴곤란자의 식이단계와 SWAL-QOL 척도를 통한 삶의 질과의 상관성

원문정보

The Correlation Between Dietary Stages and Quality of Life Assessed by SWALQOL in Patients with Dysphagia

차태현, 정민예, 정보인, 이택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 of the quality of life by the SWAL-QOL method which was developed in 2002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fe of the individuals with dysphagia. Methods : Subjects of the study were 58 patients undertaking the Swallowing ehabilitation treatment at the 16 organization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n the 21 out of the 58 whose swallowing dietary stage was improved after 4 weeks Results : After the dietary status has been changed, the average score of the 11 items and the total score were increased enhancing the life qualit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item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survey of SWAL-QOL. In the SWAL-QOL, swallowing ability had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with the general burden, eating duration, communication, the fear of eating, and the mental health. The improvement of the dietary stage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general burden, eating duration, communication, fear of eating and the mental health while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age. Total score of the SWAL-QOL indicated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with the general burden, eating duration, symptoms, food selection, communication, the fear of eating, and mental health. When the medical treatment period was long, the total score of the SWAL-QOL showed the negative relationship. Conclusion : This study was significant because it viewed dysphagia therapy, traditionally focusing on physic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as psychosocial aspect and suggested patient's quality of life. Also we found that the quality of life was increased by improving dietary stage in the patients with dysphagia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McHorney 등에 의해 2002 년에 개발된 Swallowing-Quality Of Life(SWAL-QOL)을 이용하여 식이단계가 향상된 환자의 삶의 질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대상은 16개 기관에서 삼킴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5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4주 뒤에 삼킴 식이단계가 향상된 21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식이상태 변화 후 11개 하위항목의 평균점수와 총점이 상승하여 삶의 질이 높아졌으며, 1차와 2차 SWALQOL의 설문결과 모든 하위항목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SWAL-QOL 하위항목인‘삼킴 능력’은‘삼킴곤란에대한 걱정’,‘ 먹는데 대한걱정과 관심’,‘ 발음능력’,‘ 삼킴 실패로 인한두려움’,‘ 정신 건강’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식이단계 향상 폭은‘삼킴 실패로 인한 두려움’,‘ 사회생활’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이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SWAL-QOL 총점은‘삼킴 곤란에 대한 걱정’,‘ 먹는데 대한 걱정과 관심’,‘ 삼킴 능력’,‘ 삼킬 수 있는 음식에 대한 지식’,‘ 발음 능력’,‘ 삼킴 실패로 인한 두려움’,‘ 정신건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유병기간’과SWAL-QOL 총점은음의상관관계를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물리적, 생리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실시하던 기존의 삼킴 재활치료 방법을 정신사회적인 측면으로 바라보고 환자들의 삶의 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식이 단계가 상승하면서 삼킴 곤란자의 삶의 질 또한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2. 평가 도구
  3. 연구 절차
  4. 자료 분석 및 통계
 Ⅲ.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
  2. SWAL-QOL 항목에 따른 점수분포
  3. 연구대상자별 식이단계와 SWAL-QOL 전후의 점수변화
  4. 1차와 2차 설문 식이단계 형태에 따른 SWAL-QOL 점수 비교
  5. 연구대상자의 SWAL-QOL 평균점수의 전후 비교
  6. SWAL-QOL 점수 증가 값, 식이단계 향상 폭, 식이단계, 유병기간, 나이의 상관관계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차태현 Cha, Tae-Hyun. 강남세브란스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정민예 Jung, Min-Ye. 연세대학교
  • 정보인 Chung, Bo-In. 연세대학교
  • 이택영 Lee, Taek-Young. 한서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