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및 동아시아 인문학

{높다/낮다}와 {高/低}의 다의 구조 비교․대조 연구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응관계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Multivocal Structure of {높다/낮다} and {高/低}

민영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man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Korean-Chinese pairs of ‘high/low’ (‘높다/낮다’-‘高/低’)from the standpoint of contrastive linguistics. In the basic meanings of the paired words ‘high/low’ (‘높다/낮다’-‘高/低’), there is a correspond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of height except stature. Words, though having customary basic meanings, can exhibit meaning transfer when put in various contexts or situations. Significan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discovered in the pairs of ‘high/low’ (‘높다/낮다’-‘高/低’)through comparing transferred meanings. For instance, there is correspondence of ‘높다’ (‘high’ in Korean) with ‘高’ (‘high’ in Chinese) when both pertain to numerical value, level, social status, moral character, sound, age, education level, whereas there appears no correspondence when they relate to possibility, mentality, morale, stature, degree, speed, ambition, interest. Correspondence is made for the meaning of Korean ‘낮다’ and Chinese ‘低’ when both designate numerical value, level, social status, status, grade, sound, but no correspondence between ‘다’ and ‘低’ when concerned with age.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chapters, the study investigates one-to-many correspondence of basic meanings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d the following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① spatial words transferred to abstract words ②spatial words transferred to idiomatic words ③ spatial words transferred to audial word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높다/낮다’와 중국어 ‘高/低’의 다의 구조 대조를 통해 이것들의 의 미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였다. 기본 의미에서 ‘높다/낮다’와 ‘高/低’는 ‘사람의 키’를 제외한 ‘이어진 수직거리’나 ‘벌어진 수직사이’에서는 대응을 이루고 있었다. 단어는 다양한 문맥이나 상황에서 그 기본의미를 벗어나 여러 가지 의미를 파생시킨다. ‘높 다/낮다’와 ‘高/低’의 전이 현상을 살펴보면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대 상속성이 ‘수치, 수준, 신분, 성품, 소리, 연령, 항렬’일 때, ‘높다’와 ‘高’는 대응을 이루었으나, 그 대상이 ‘가능성, 심리활동, 기세, 신체, 정도, 속도, 포부․취미’일 때는 비 대응을 이루고 있었다. ‘낮다’와 ‘低’에서도 그 대상 속성이 ‘수치, 수준, 신분․지위․등급, 소리’를 나타낼 때 대응을 이루었으나 ‘연령’을 나타낼 때에는 비 대응을 이루고 있었다. 이상의 내용에 근거하여 기본 의미 대응의 특징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일 대 다의 대응양 상을 살펴보았고, 의미전이 대응의 특징으로 ①공간성에서 추상성으로의 전이, ②문자성에서 관용성으로의 전이, ③공간성에서 청각성으로의 전이를 살펴보았다.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1) 연구목적과 방법
  2) 선행 연구
 2. ‘높다/낮다’와 ‘高/低(矮)의 기본 의미
  1) ‘높다’와 ‘高’의 의미
  2) ‘낮다’와 ‘低(矮)’의 의미
  3) 기본 의미 대응의 특징
 3. ‘높다/낮다’와 ‘高/低(矮)의 전이 의미
  1) ‘높다’와 ‘高’의 의미
  2) ‘낮다’와 ‘低(矮)’의 의미
  3) 의미 전이 대응의 특징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민영란 Min, Ying-Lan. 중국 산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