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漢書』 「藝文志」 兵書略의 ‘圖’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Record About Illustration in Han-shu I-wen chih

『한서』 「예문지」 병서략의 ‘도’ 연구

정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bout production process of Hàn shū(Book of Han) Yì wén zhì(Treatise on Literature) Bīng shū luè(summary of the art of war) found through illustration in it. Generally, Pan Ku(32-92)' Hàn shū Yì wén zhì is widely known that based upon Liú Xiàng(BC 79- BC 8)'s bié lù(imperial library) and Liu Xin(BC 53-25)'s qī luè(seven part of study). But in Yì wén zhì, especially Bīng shū luè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s' narrative style. A classic example is mentioning about the 'illustrations(or maps ; in my opinion)'. Generally, we may think that illustrations(or maps) of Bīng shū luè is caused by it's own necessity. But the others parts isn't that. Why so? As soon as questions of this arise, we are at a loss. For this problem, opinion of this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 1. Origin of Bīng shū' luèi ilustrations(or maps) was retroactive to before Liú Xiàng(BC 79- BC 8)'s bié lù(imperial library). 2. In my opinion, this era is early Hàn dynasty more specifically emperor Kao Tsu Liu Bang era(BC 202-BC 195). 3. A series of Bīng shū(art of war) list process come down from this to Rèn Hóng(?-?). 4. Therefore Rèn Hóng's Bīng shū textual criticism result is certainly different from Liú Xiàng and other people. 5. Illustration record of Bīng shū luè is an example of this characteristic. 6. Because Pan Ku intactly summarized Hàn shū Yì wén zhì from before list, we can find early Hàn dynasty' textual criticism process(even if only Bīng shū'). 7. Finally through this study, I suggest the others possibility of Hàn shū Yì wén zhì production process.

한국어

이 글은 『漢書』 「藝文志」 兵書略에 수록된 ‘圖’에 관한 기록을 통해 예문지의 제작과정을 살펴본 논문이다. 班固(32-92)가 저술한 『漢書』의 「藝文志」부분은 일반적으로 이전 시기 劉向의 『別錄』과 劉歆의 『七略』을 바탕으로 요약하여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예문지의 본문 중에서 유독 兵書略의 부분은 다른 항목들과는 다른 체계와 서술형태를 보이고 있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圖’라고 하는 揷圖의 유무에 대한 언급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림이 많이 필요한 兵書이기 때문에 삽도의 기록이 되었다고 볼 수도 있으나, 여타의 항목들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은 많은 의문점을 제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정황을 비교하여, 藝文志상의 兵書略부분에 ‘圖’라는 기술이 수록된 것은 漢代初부터 이어져온 일련의 兵書目錄작업의 성과가 劉向과 함께 校讎작업에 참여한 任宏에 의해 『別錄』과 『七略』에 반영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현존하는 『漢書』 「藝文志」 兵書略은 漢代初期의 목록제작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과, 『漢書』「藝文志」의 제작과정에 대하여 또 다른 방향의 논의가 필요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목차

<초록>
 
 1. 서론
 2. 班固와 漢書藝文志
 3. 兵書略에 수록된 ‘圖’의 의미
 4.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대영 Jung, Dae-Yeong.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