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湖西地方 木活字本의 현황과 木活字 유형연구

원문정보

Analyzing the Wooden Movable Type Printing Books with Publications Records of the Hoseo Region from the Chosun Dynasty

호서지방 목활자본의 현황과 목활자 유형연구

옥영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sort out, and analyze the wooden movable type printing books with publications records of the Hoseo region from the Chosun Dynasty to the years before Korea's liberation in terms of the publication situations and patterns of the wooden movable type and of the areas, periods, subjects, publishing venues, and publishers of the printed books. In the Chosun Dynasty, the Hoseo region boasted a developed printing culture along with the Yeongnam and Honam region. Cheongju, in particular, claims hug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printing as they made the oldest metal type books remaining today. Other areas too published any important printed books. In the academic community in late Chosun, the region provided a major base for the Gihosarim, which gave birth to a popular practice of publishing decorum books and anthologies of great scholars of Sung-Confucianism. Espeically Gongju-mok and Cheongju-mok were the heart of the region's book publications. They made active use of the wooden movable type, whose printed books still remain today. By going through the list of old books the investigator identified 195 wooden movable type printing books in the region. Once classifying them by examining the results against actual printed books, I analyzed them according to region, cultural zone, period, subject, publication venue, and publisher.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After determining the areas and subjects based on the seal records, I categorized them according to printing types and letter styles. Then using the same printing types, I gathered around the printed books published in relatively earlier periods and attempted to classify the Hoseo region's wooden movable types that could be possibly named. As a result, there were total 14 wooden movable types identified in the region. There should be more comprehensive research and analysis in order to understand wooden movable type printing among regions during Chosun. But a look into the remaining printed books with seal records reveals that the full-blown wooden movable type printing started in the 19th century and its technology and heritage continued on in the middle 20th century in the Hoseo region. There were 4, 40, and 152 wooden movable type printing books published in the 18th, 19th, and 20th century.

한국어

이 연구는 조선시대부터 해방이전까지 호서지역에서 印行된 목활자본 중 印行記錄이 있는 현존본을 대상으로 하여, 호서지역 목활자의 印行상황과 유형 및 그 인본의 지역, 시대, 주제, 발행소, 인쇄자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 정리하고 이를 분석한 것이다. 조선시대 호서지역은 영남, 호남과 더불어 인쇄문화가 발달했던 지역으로, 특히 청주는 현존 最古의 금속활자인쇄물이 제작된 지역으로 인쇄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이며, 그 외 지역에서도 중요한 인본이 많이 간행되었다. 조선후기 학맥에서도 호서지역은 기호사림의 주요기반지이기도 하며 이는 자연스럽게 예학서와 성리학 대가들의 문집간행이 성행하는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공주목과 청주목은 호서지역 서책간행의 중심지였으며, 그 중 목활자를 이용한 인쇄활동도 활발하여 그 인본이 현재에도 적지 않게 확인되고 있다. 이 연구를 위해 문화재청, 대학교, 박물관 등의 기관에서 조사하여 출판한 고서목록과 국립중앙도서관의 전적종합목록시스템을 비롯한 각 기관의 웹사이트를 통해 조사한 호서지역의 목활자본은 195종이다. 이 인본의 실물을 일일이 대조하여 유형화하는 한편, 지역 및 문화권별 분석, 시대별 분석, 주제별 분석, 발행소별 분석, 인쇄자별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출기록을 바탕으로 활자를 인행한 지역과 주체를 중심으로 호서지역 목활자의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1) 공주 이헌가 인서체 목활자, 2) 금산 광업재 인서체 목활자, 3) 논산 김영상 인서체 목활자, 4) 논산 이은시사 인서체 목활자, 5) 논산 김씨 인서체 목활자, 6) 논산 문씨 목활자, 7) 보은 회북면 고씨 인서체 목활자, 8) 보은 고광태 인서체 목활자, 9) 보은 풍림정사 인서체 목활자, 10) 음성 반씨 인서체 목활자, 11) 옥천 용문사 인서체 목활자, 12) 옥천 고래원 인서체 목활자, 13) 청주 신항서원 인서체 목활자, 14) 청주 화당리 재실 필서체 목활자 등 총 14종의 호서지역 목활자를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인출 기록이 있는 現存本으로 살펴볼 때, 호서지역은 19세기부터 본격적인 목활자인쇄가 이루어지고 20세기 중엽까지 그 기술과 전통이 이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호서지역 목활자본을 시대별로 나열하여 보면, 18세기 4종, 19세기 40종, 20세기 152종이 간행되었다. 20세기의 것이 비교적 많이 남아 있고, 그 중 1920-1930년에 집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초록>
 
 1. 서언
 2. 호서지방 개관과 인쇄문화적 특성
 3. 호서지역 목활자본의 현황과 간행시기
 4. 호서지방 목활자의 유형 및 특징
  4.1 公州 李瀗 印書體 木活字
  4.2 錦山 廣業齋 印書體 木活字
  4.3 論山 金永商 印書體 木活字
  4.4 論山 離隱時舍 印書體 木活字
  4.5 論山 金氏 印書體 木活字
  4.6 論山 文氏(印書體, 筆書體) 木活字
  4.7 報恩 懷北面 高氏 印書體 木活字
  4.8 報恩 高光台 印書體 木活字
  4.9 報恩 楓林精舍 印書體 木活字
  4.10 陰城 潘氏 印書體 木活字
  4.11 沃川 龍門祠 印書體 木活字
  4.12 沃川 高來遠 印書體 木活字
  4.13 淸州 莘巷書院 印書體 木活字
  4.14 淸州 花塘里 齋室 筆書體 木活字
 5. 결언
 <참고문헌>
 <부록> 호서지역 목활자인본 일람

저자정보

  • 옥영정 Ok, Young-Jung.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