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證道歌字의 진위 규명을 위한 조선시대 금속활자와의 주조 형태에 관한 비교 분석적 연구

원문정보

An Comparative Analysis of Casting Styles of Metal Movable Types in the Joseon Period to Examine the Authenticity of Jungdo-ga Types

증도가자의 진위 규명을 위한 조선시대 금속활자와의 주조 형태에 관한 비교 분석적 연구

金聖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compared and analyzed the casting styles of Jungdoga Types and the metal movable types cast in the Joseon Period to examine the authenticity of Jungdoga Type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movable types made by the government in the Joseon Period have the shape of double structured diamond with the diamond-shaped top part and the reverse diamond of the bottom part, and the shape of the bottom part formd the tunnel. Also the side of all types had the trace of a fault. It is evidenced that such types were made with the method of casting types which melt iron were poured into the matrix on which wooden types with the separate top and bottom were planted, and then those parent types were removed. 2) In the Joseon period, the privately cast movable types also had the trace of a fault.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ose types were also cast with the parent types whose top part was separate form the bottom part. 3) Jungdo-ga Types cast in the Goryeo period also had the trace of a fault on their sides. Such trace of a fault evidences that they were also cast with the same method as metal movable types cast in the Joseon period. 4) In this research, parent types with the separate top and bottom were made, and used to experiment with the method of casting metal movable types. The experiment confirms that both Jungdoga Types and metal movable types cast in the Joseon period were produced with the method of casting types, using parent types with the separate top and bottom, and two matrixes.

한국어

이 연구는 증도가자의 진위 규명을 위하여, 증도가자와 조선시대 금속활자의 주조형태에 관하여 비교 분석을 시도한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선시대 官鑄활자의 주조형태는, 활자 上部의 마름모꼴과 그 下部의 역마름모꼴 형태가 결합된 이중구조의 마름모꼴을 취하면서, 활자 하부의 모양은 터널형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활자의 측면에는 모두 가로형태의 단층(斷層)의 흔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금속활자의 주조는 상부父字와 하부父字가 분리된 이른바 상하분리형부자(父字: 목활자)를 암틀과 수틀의 주물사에 각각 심거나 다진 후, 이들 부자를 빼내었을 때 형성되는 모형(母型)에 쇳물을 주입하여야만 주성(鑄成)되는, 주물사주조법에 입각한 주조방법임을 파악하였다. 2) 조선시대 私鑄활자의 주조형태 또한 단층의 흔적이 뚜렷하기 때문에 상하분리형父字를 활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3) ‘고려시대 증도가자’의 주조형태 또한 이들 활자의 측면에 단층(斷層)이 형성되어 있음을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증도가자와 조선시대 현존하는 금속활자들은 활자의 측면에 단층의 양상을 함께 보임으로써, 증도가자 또한 상하분리형父字에 의거한 주물사주조법으로 주조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4) ‘상하분리형父字를 활용한 활자주조 형태의 실험적 분석’에서는 실제로 木活字를 상하분리형父字로 제작하고, 실제로 그 주조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증도가자와 조선시대의 금속활자들은 모두 ‘상하분리형父字’에 의거하여 양 틀의 거푸집을 활용하는 방법에 입각한 주물사주조법에 의하여 금속활자를 주성(鑄成)하였음을 입증(立證)하였다.

목차

<초록>
 
 1. 서론
 2. 조선시대 官鑄活字
 3. 조선시대 私鑄活字
 4. 고려시대 證道歌字
 5. 상하분리형父字를 활용한 활자주조 형태의 실험적 분석
 6.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金聖洙 김성수. 청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