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rranging the basic research and the process of examination on the movable type, that is so called ‘Jeungdoga(證道歌)’ movable metal type which is the earliest one in Koryo period. That could be also the first and the earlist one in the world. The movable type was not known to the public up to now, so we should try to study the relationship of the other existing movable type that is mainly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partly in early period of Cho-sun or in the late of Koryo Dynasty. Thereby we also analyze the related records and materials, and reorganize the fact and the document in every way. That’s why every academic scholarship go through the verification of new material or new theory so forth. Consequently the newly discovered ‘Jeungdoga(證道歌)’ movable metal type should undergo the verification and examination in diachronic approach with the typographic point of view thoroughly. So this study focused at the outlines and features of the ‘Jeungdoga(證道歌)’ movable metal type and the book ‘The Song of Enlightment’ printed with the movable type.
한국어
이 연구는 『南明泉和尙頌證道歌』를 찍었던 새로 발견된 고려 금속활자 120여점을 대상으로 활자의 형태적 특징과 서체, 금속성분, 사용 시기 등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동시에 『南明泉和尙頌證道歌』의 보물지정본과 같은 번각본 1종도 소개하였다. 발견된 활자는 證道歌字에 해당하는 2종류와 지금까지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형태의 네다리형 활자도 확인되었다. 특히 먹이 잔류되어 있어 서로 다른 활자의 탄소연대를 측정한 결과 일본쪽 연구소의 결과는 10-12세기의 분포를, 국내의 결과는 대략 11-13세기의 분포로 나타났지만 국내의 구체적 결과는 조사분석팀에서 발표할 때까지 기다리는 중이다. 앞으로 이 활자들의 주조방법, 서체, 형태의 특징중 하단 돌출부의 기능, 조판방법, 기술발전의 단계 등 여러 측면에서의 지속적인 연구와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목차
1. 머리말
2.『南明泉和尙頌證道歌』의 개요
2.1 책의 형태와 간행
2.2 저자
2.3 책의 내용과 형식
3.『證道歌』刊行의 기록과 판본
3.1 1089년(高麗 宣宗 6)(淨居 註釋本)
3.2 1239年 鑄字本 飜刻版(法泉 註釋本)
3.3 無界 高麗本(法泉 註釋本)
3.4 有界 高麗本(法泉 註釋本)
3.5 南明泉和尙頌證道歌事實
3.6 1424年(世宗 6)(法泉 註釋本)
3.7 1455年(世祖 1)(彦琪 註釋本)
3.8 1457年(世祖 3)
3.9 1460年(世祖 6)(法泉 註釋本)
3.10 1472年(成宗 3)(法泉 註釋本)
3.11 1482年(成宗 13)(法泉 註釋本)
3.12 1526年(中宗 21)(法泉 註釋本)
3.13 1574年(宣祖 7)(彦琪 註釋本)
3.14 1576年(宣祖 9)(法泉 註釋本)
4.『證道歌』飜刻本의 특징
4.1 형태적인 특징
4.2 글자와 배열의 특징
4.3 각수
5. 高麗 金屬活字 印刷術의 역사적 배경
5.1 현존의 高麗 金屬活字
5.2 13세기 초 金屬活字 鑄造起源說
6. 現存 飜刻本 證道歌의 글자 비교
7. 발견된 高麗 金屬活字의 형태와 수량
7.1 형태
7.2 傳存의 수량과 특징
8. 발견된 高麗 金屬活字의 실물 분석
8.1 書體
9. 科學的 分析 資料
9.1 금속성분 분석 자료
9.2 먹의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자료
10.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