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과교실제 기반의 사회과 수준별 탐구학습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Differentiated Inquiry Learning in the Social Studies Subject-Matter Oriented Classroom Environment

임철일, 홍현미, 최소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the differentiated inquiry learning in the social studies subject-matter oriented classroom environment. Social studies subject matter oriented classroom (SOC) is the kind of classroom system that emphasizes on the professionalism of the subject-matter. It has advanced equipment along with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 respective subject-matter. The teacher resides in the SOC and waits for the students to come in, while various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re carried out in the SOC. Depending on the subject matter there has been comprehensive research on how to construct the SOC. However, how to necessarily develop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to teach in a SOC environment effectively is still strongly needed. The design-based research methodology was applied to gain the optimal model. The initial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a theoretical review on social studies inquiry learning, differentiated instruction, and SOC related studies. It was developed by focusing on the principles that can be utilized in a middle school classroom. The model has been applied to the social studies class at the middle school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initial model was implemented on the second grade class on November 22, 2009. The revised model was implemented on the other class on November 27, 2009. The third and fourth classes were implemented in the following year on March 30th and April 20th for the third graders. Th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teacher and two students from each group to analyze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s strengths, weaknesses and improvement area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order to come up with the modifications for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e same procedure was conducted four times in the fields and the new model and specific strategies were finally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n optim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was developed to have better students'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in the social studies subject-matter oriented classroom environment. However, it was suggested that future studies should be done in the process of making problems for inquiry learning and the strategies for securing full participation of all the learners in a group

한국어

본 연구는 최근 중등 학교현장에서 새롭게 운영되고 있는 교과교실제 환경에 있어서 최적의 상태로 구현될 수 있는 사회과 수준별 탐구학습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교실제는 각 교과마다 특성화된 전용교실을 갖추고 학생들이 교과교실로 이동하여 수업을 듣는 방식이다. 교과의 특성에 따라 물리적으로 교실을 어떻게 구축해야 하는가에 관한 연구는 대체로 진행되고 있으나, 교과교실 환경에서 교수설계는 어떻게 해야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설계기반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교수설계 모형의 개발과 수업 적용 후 수정 과정을 네 차례 반복하였다. 초기 모형은 사회과 탐구학습과 관련된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중학교 사회과 교과교실 상황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최적의 원리를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초기 모형으로 서울의 A중학교 학생 2학년 34명에게 1차 수업을 진행하였고 수정 보완된 모형으로 2차 수업을 진행하였다. 3차와 4차 수업은 다음 해에 3학년 학생 35명에게 실시하였다. 수업에 적용한 후 학생들과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개선점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최종 모형과 이에 따른 세부 전략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과교실제 기반의 사회과 탐구학습 모형이 학습자의 참여와 동기를 증진시키고 효과적인 수업을 가능하게 하지만, 효과적인 탐구문제 개발 방식, 모둠 활동의 학습자 참여 방식 등에서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과교실제
  2. 사회과 탐구학습
  3. 수준별 수업
 Ⅲ. 연구 방법
  1. 교수설계 모형의 개발
  2. 모형의 적용 및 분석
 Ⅳ. 연구 결과
  1. 사회과 탐구학습을 위한 초기 교수설계 모형의 개발
  2. 1차 교수설계 모형의 적용 및 수정
  3. 2차 교수설계 모형의 적용 및 결과
  4. 3차 교수설계 모형의 적용 및 분석
  5. 3, 4차 교수설계 모형의 적용 및 수정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철일 Lim, Cheol-Il. 서울대학교
  • 홍현미 Hong, Hyeon-Mi. 서울대
  • 최소영 Choi, So-Young. 서울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