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歐陽竟無의 敎育思想 —『支那內學院院訓釋』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 Investigation on Ouyang Jingwu, 歐陽竟無, 's Educational Thoughts: Focusing on the Elucidation of the Motto of the Chinese Inner Studies Institute, 支那內學院院訓釋,

구양경무의 교육사상 —『지나내학원원훈석』을 중심으로 —

김진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discussing modern Chinese Buddhism, the three generations - Yang Wenhui(楊文會), Ouyang Jingwu(歐陽竟無) and Lu Cheng(呂澂) - are considered the central figures.
Ouyang Jingwu among them can be properly rated as the practical renovator of modern Chinese Buddhism as he not only led the enterprise of Jinling Sutra Printing House(金陵刻經處) actually succeeding to Yang Wenhui; but also established and took charge of the first state-approved Buddhist educational institution, the Chinese Inner Studies Institute(支那內學院). The period Ouyang Jingwu lived was recognized by modern Chinese Buddhists as so-called 'the most dangerous sinc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China', to which situation the remedy prescribed by the
then Buddhists was the strong emphasis on the modernized education of Buddhism. Accordingly, the Sangha community came to found the Sangha Institute(僧學院) and the Buddhist Institute(佛學院), while on the part of the laity Ouyang Jingwu set up the Chinese Inner Studies Institute which has been taking the lead in modern and contemporary Buddhist studies and producing numerous Buddhists for the past 32
years on end.
This article briefly examined the overall educational system of modern Chinese Sangha community and the laity and then investigated Ouyang Jingwu's educational thoughts through the Elucidation of the Motto of the Chinese Inner Studies Institute(Elucidation, hereafter) which is an expounding on the institute's motto, 'Teacher, Compassion, Doctrines, and Precepts(師, 悲, 教, 戒)'. The book, however,
presents the interpretation of the first three items only, 'Teacher, Compassion and Doctrines', while omitting the last, 'Precepts' as he died before completion. Therefore, I also limited my scope of investigation to the first three items of the motto.
According to the above Elucidation, the first two items, 'Teacher and Compassion', make clear the necessity and responsibility of Buddhist education; the last two, 'Doctrines and Precepts', aim at the contents and social implementation of it. Though lacking in the interpretation of 'Precepts', the three chapters, viz the Elucidation of 'Teacher' Motto(釋師訓), the Elucidation of 'Compassion' Motto(釋悲訓) and the Elucidation of 'Doctrines' Motto(釋敎訓), contain in themselves the whole educational ideas of the Chinese Inner Studies Institute. To sum up, its educational thought was to 'experience the wisdom of the Buddhadharma without any intellectual frivolity and practice the Bodhisattva way at the level of the Buddha(證智無戲論, 佛境菩薩行)'. To put it more simply, it was the 'learning to be a proper human(爲人之學)' on the basis of Buddhism. In the later days,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Buddhists' particular emphasis on 'Being Human(做人)' can be said to have originated from Ouyang Jingwu's educational idea.

한국어

중국의 근대불교를 논함에 있어서 ‘楊文會-歐陽竟無-呂澂’의 三代는 결코 배제될 수 없는 중심인물들이다. 그 가운데 실제적으로 楊文會를 계승하여 金陵刻經處의 사업을 이끌었고, 또한 중국 정부의 정식인가를 받은 최초의 불교교육기관인 支那內學院의 설립과 운영을 맡
은 歐陽竟無는 실질적인 중국 근대불교의 중흥조라고까지 평할만하다. 근대에 불교인들은 당시를 이른바 “불교전래 이의 최대의 위기”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그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불교의 근대적 교육을 크게 강조하였다. 그에 따라 僧團에서는 僧學院과 佛學院을 창립하였으며, 在家에서는 바로 歐陽竟無가 支那內學院을 창립하여 32년 간 수많은 불교도를 배출하여 근현대 불교학을 주도하게 된다.
그에 따라 본고에서는 중국에 있어서 근대의 僧團과 在家의 교육현황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간략하게 고찰한 이후, 支那內學院의 院訓인 ‘師, 悲, 教, 戒’를 해석한 󰡔支那內學院院訓釋󰡕을 통하여 歐陽竟無의 敎育思想을 고찰하였다. 그러나 󰡔支那內學院院訓釋󰡕은 ‘師, 悲, 教’에 대한 해석만을 완성하고, 네 번째 ‘戒’에 대해서는 미처 논술하지 못하고 病死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도 ‘師, 悲, 教’에 대해서만 그에 함유된 교육사상을 고찰하였다.
󰡔支那內學院訓釋󰡕에 따르면, ‘師, 悲’는 교육의 당위성과 그 책임을 밝히고 있고, ‘教, 戒’는 교육의 내용과 사회적 실천을 겨냥하고 있다고 하겠다. 비록 ‘戒’에 대한 해석은 나오지 않았지만, 󰡔釋師訓󰡕⋅󰡔釋悲訓󰡕⋅󰡔釋敎訓󰡕의 세 편에 이미 支那內學院의 전체적인 교육사상이 함유되어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전편을 통해서 支那內學院의 교육
사상을 한마디로 함축한다면, 그것은 바로 ‘더 이상 희론이 없는 불법의 지혜를 증득하고, 부처의 경지에서 보살행을 함[證智無戲論, 佛境菩薩行]’이다. 이를 좀 더 쉽게 풀어 말한다면, 불교를 바탕으로 한“사람 만드는 배움[爲人之學]”이라고 하겠다. 이후 근현대 中華圈 불교도들이 “사람 만들기[做人]”를 특히 강조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歐陽竟無의 교육사상으로부터 발현된 것이라고 하겠다.

목차

Ⅰ. 緖言
 Ⅱ. 近代 中國의 佛敎敎育
  1. 僧團의 佛敎敎育
  2. 在家의 佛敎敎育
 Ⅲ. 『支那內學院院訓釋』에 나타난 교육사상
  1. 사회적 책임으로서의 ‘師․悲’
  2. 이론과 실천의 ‘教․戒’
 Ⅴ. 結語
 국문 요약문
 영문 요약문
 참고 문헌

저자정보

  • 김진무 Kim, Jin-Moo.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