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禪師의 威風과 그 詩的 구현 — 朝鮮 時代 禪詩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dignity of Seon-master and its realization of poetry — Focusing on poem from period of Chseon(朝鮮) —

선사의 위풍과 그 시적 구현 — 조선 시대 선시를 중심으로 —

조상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 looked at the dignity of Seon-master who has presented their truth in the world of contradiction and deficiency in detail and how the dignity was realized in Chseon(朝鮮) Dynasty according to time period. Especially, I looked at the realization of the dignity from typical poem from each period as according to early, middle and last stages.
Therefore, I looked at poems from each period’s most respected literary man such as Hamheo Deutong(涵虛 得通,1376~1433), Cheongheo Hyujeong(淸虛 休靜,1520~1604), Jinmug Il-og(震黙 一玉,1562~1633), Cho-ui Uisun(草衣 意恂,1786~1866), Gyeongheo Seong u(鏡虛 惺牛,1849~1912).
Also, before this, I looked the concept of dignity of Seon-Master through Seon-Buddhism literatures in detail.

한국어

본고는 모순과 결핍의 세계에서 당당히 진리를 체현한 선사들의 위풍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또한 그러한 위풍이 조선 시대 선시에서 어떻게 구현 되었는지를 시기별로 검토해 보았다. 특히 조선 시대를 초기, 중·후기, 말기로 나누고, 각 시대별로 대표적인 선사의 시에서 진리 체현자의 위풍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즉 당대의 대 禪師이자 최고의 문인인 涵虛 得通(1376~1433), 淸虛 休靜(1520~1604), 震黙 一玉(1562~1633), 草衣 意恂(1786~1866), 鏡虛 惺牛(1846~1912) 선사의 시에서 그 시적 구현을 고찰하였다. 한편 그에 앞서 선사들의 위풍에 대한 개념을 선불교 문헌에서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논증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禪師의 威風
 Ⅲ. 威風의 詩的 구현 - 朝鮮 時代 禪詩
  1. 조선 초기: 개국기
  2. 조선 중기: 전란기
  3. 조선 말기: 혼란기
 Ⅳ. 결론
 국문 요약문
 영문 요약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상현 Jo, Sang-Hyeon. 울산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