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시아의 근대화와 불교사회주의의 등장 - 붓다다사의 불교사회주의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Modernization of Asia and the Appearance of Buddhist Socialism - Focus on Buddhadasa's Dhammic Socialism -

박금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essay, I tried to research into Buddhadasa's dhammic socialism. Especially, I focused on Buddhadasa's basic principles. First principle is restraint. Marxist had been stressed on the fair distribution of wealth but Buddhadasa gave his views that self restraint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fair distribution. Second principle is 'the good of whole'. Marxist's view have been concentrated in the dialectics of class struggle and of socio-economic change. Capitalism have been stressed competition and individualism. But Buddhadasa emphasized 'the good of whole'. In his words, human beings are social creatures and our relationship is based on mutual dependence, so we need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good of whole'.
Third principle is compassion toward all forms of life.55)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NRF-2008-005-J02302).
Struggles had been important for Marxist to built socialist state. But Buddhadasa criticized "conflict in the world today is a form of insanity, these kinds of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world are cleaning something muddied water". So he sought to realize of socialistic society through peaceful means, or compassion(metta-karuna).
Finally, Buddhadasa gave his views on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ai, it was Dictatorial Dhammic Socialism. He talked that the meaning of democracy is very ambiguous, on the other hand dictatorial dhamma raja system is a more ideal than anything. To sum up, Buddhadasa advocated socialism based on the principles of Buddhism, not to be on Marxist's view but to be on the side of society. There have been criticisms on dhammic socialism for Buddhasa didn't bring forward proper system. But I think he showed political philosophies of coexistence and he sought real socialism can apply to Thai and Asia. Also I assess dhammic socialism is a asiatic socialism being in harmony of mind and material.

한국어

본 논문은 1970년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불교사회주의의 핵심사상을 고찰한 논문이다.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붓다다가 주창한 불교사회주의 이론의 핵심적 요소를 생산관계, 사회구조, 사회주의 구현 수단, 불교사회주의 정치관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붓다다사의 사상과 불교사회주의가 태국 사회에 미친 영향을 검토해보았다.
근현대에 발생한 태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붓다다사가 주장한 불교사회주의의 핵심에는 ‘마음(心)’이 있다. 마르크스의 사회주의가 자본주의의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소유의 기회와 분배의 평등을 강조했다면 붓다다사는 집착에서 벗어날 수 있는 절제와 공동선 그리고 보시를 강조했다. 붓다다사의 사회주의는 자연의 원리를 따르는 사회주의로 우주의 본원적 질서에 따라 살아가는 사회주의이며, 한편으로는 붓다의 가르침에 내재되어 있는 연기의 원리를 따르는 사회주의이다.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아시아는 서구 물질주의에 패배한 역사를 겪게 되었고, 나아가서 서구 물질주의에 대한 패배와 극복이라는 근대적 과제를 안고 있었다. 이러한 시기에 아시아에 수용된 사회주의는 ‘반제국주의’ 혹은 ‘반서구주의’ 측면에서 수용된 측면이 강했다.
따라서 사회주의가 근현대 아시아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열쇠로 작용해줄 것으로 기대되었지만, 마르크스 사회주의 역시 동양적 토양에 이식되기 어려운 것이었고,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해 주지 못했다.
이때 태국 사회에 등장한 것이 붓다다사의 불교사회주의였다. 붓다다사가 적극적인 시스템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비평을 받기도 하아시아의 근대화와 불교사회주의의 등장하지만 필자는 그가 서구적 분석이나 비평을 넘어서는 진리와 공존의 정치철학을 제시했고, 태국 정치체제 확립의 사상적 바탕을 제시했다고 본다. 또한 붓다다사의 불교사회주의는 태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전반에 적용될 수 있는 마음(心)과 물질이 조화된 아시아적 사회주의의 등장이라는 평가를 받을 만하다고 생각한다.

목차

I. 서론
 II. 붓다다사의 사회주의 사상
  1. 생산관계에 대한 불교사회주의적 해석
  2. 사회구조에 대한 불교사회주의적 해석
  3. 사회주의 구현 수단과 불교사회주의
  4. 소결
 III. 붓다다사의 사회주의 정치관
 V. 결론
 국문 요약문
 영문 요약문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금표 Park, Kyum-Pyo.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