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 근대불교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두 시각 - 이노우에 엔료와 키오자와 만시 -

원문정보

Two Viewpoints of Buddhism in Modern Japan on Social Evolution - Inoue Enry and Kiozawa Mansi -

김제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attitude of Buddhism in modern Japan toward Social Evolution through Inoue Enry and Kiozawa Mansi. They are the representatives of Buddhists in modern Japan.
Inoue Enry and Kiozawa Mansi equally accepted Evolution, but the methods or aims were in striking contrast each other. Both of them brought up Evolutionary Buddhism, or Buddhistic Evolution in relation to Buddhism. Inoue Enry proposed the universial- Buddhistic Evolution through a compromise between Western Linear Evolution and Eastern Circulating System. He supported the national ideology of the meiji period using Buddhistic Evolution under the slogan of ‘Protecting nation and love for principles. On
the other hand, Kiozawa aceepted Evolution into his Buddhistic Evolution theory completely. He didn't lose the uddhistic sense of values respecting 'an individual' than 'a Nation'. He criticised Western Evolution and raised 'the Mental Evolution'. And he passed judgment on 'the survival of the fittest' of Social Evolution based on 'the theory of non-ego’ of Buddhism and ‘Sympathy for those who suffer’ of 'the theory of the public society'. In the end, Inoue Enry accepted Social Evolution through Buddhistic Evolution actively, and denied ‘the ideas of people's freedom and rights’, and offered the thought- base for National Ideology. Kiozawa proposed Buddhistic Evolution criticising Social Evolution, and give his approval to ‘the ideas of people's freedom and rights’, and criticised National Ideology founded on Buddhism.
So their thoughts represents two views on the social evolution in Eastern Asia. But inspite of their differencies, Japanese Buddhism added Buddhistic Evolution theory which have helped it go forward enforcing National Ideology.

한국어

이 글에서는 일본 근대불교가 사회진화론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가졌는가를 일본 근대불교의 대표적 사상가인 이노우에 엔료(井上圓了, 1816-1897)와 키오자와 만시(淸澤滿之, 1863-1903)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노우에 엔료와 키오자와 만시는 똑같이 진화론을 수용하면서도 활용 방법이나 지향점이 대조적이었다. 둘 다 진화론과 불교 교리를 연관시켜 진화론적 불교, 또는 불교적 진화론을 제기하였다.
이노우에 엔료는 서양의 직선적인 진화론과 불교의 순환론을 절충하여 우주적· 불교적 진화론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호국애리(護國愛理)’의 슬로건을 내걸고 그 불교적 진화론을 활용하여 명치의 국가주의를 지지하였다. 반면에 키오자와 만시는 진화론을 불교 인과론 에 완전히 포함하여 받아들였다. 그는 국가보다 개인의 가치를 존중하는 불교 본래의 가치관을 최후까지 잃지 않았으며, 물질 문명의 화를 말하는 서구 진화론을 비판하고 정신적 진화를 말하였다. 불교 무아설과 공공주의의 자비 선양에 근거하여 사회진화론의 약육강식적 세계관을 비판하였다. 즉 이노우에 엔료는 사회진화론을 적극 수용하여 불교적 진화론을 제기하고, 그를 근거로 자유민권사상을 부정하고 국가 이데올로기의 확립을 위한 사상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키오자와 만시는 사회진화론을 적극 비판하는 불교적 진화론을 제기하고, 자유민권사상을 지지하여 국가 이데올로기를 불교적 장에서 비판하였다.
이렇게 볼 때 두 사람의 사상은 동아시아 사회에서 사회진화론에 일본 근대불교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두 시각에 대해 가질 수 있는 상이한 두 가지 시각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그들 이후의 일본불교는 이노우에 엔료가 지향한 국가주의 지지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목차

Ⅰ. 머리말: 사회진화론의 수용
 Ⅱ. 이노우에 엔료: 사회진화론의 적극적 수용
  1. 기독교 비판과 호교의 논리
  2. 불교적 진화론의 전개: 우주적 진화론
  3. 전쟁 찬양과 국가 이데올로기 확립
 Ⅲ. 키오자와 만시: 진화론의 불교적 비판
  1. 사회진화론 비판: 근대문명 비판
  2. 불교적 진화론의 전개: 정신주의
  3. 개인주의의 선언과 국가주의 이데올로기 비판
 Ⅳ. 맺음말: 일본 근대불교와 사회진화론
 국문 요약문
 영문 요약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제란 Kim, Je-Ran. 동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