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여름철 창문 내측 화분에 의한 실내 일사 및 온도 영향 특성

원문정보

Characteristics of Indoor Solar Irradiance and Temperature with Potted Plants Positioned Nearby Window in Room during Summer day

임영빈, 정근주, 서민호, 오근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otted plants positioned nearby window in the room will influence both the reduction of solar transmittance and the improvement of thermal comfort at the perimeter zone. These influences were lower than the outdoor plants but the potted plants have both advantage of the easy installation and the non influence for esthetic value in the building. From these reason, generally, the occupant uses the potted plants nearby window such as Peace Lily, Weeping Fig, Areca Palm in the room. However, the data of above influences were so insufficient. This research presents how the potted plant as Areca Palm influences the reduction of solar transmittance as well as how it improve indoor temperature at the perimeter zone in real office room of south face in a hot summer day. The research presents the measuring data of solar irradiance, the variation of solar spectrums on Areca Palm during day time. And the research presents the indoor air temperature, globe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during nine hours(09:00~17:00) in a day for the two cases that; 1) the condition of only pair glazing window; 2) the condition of pair glazing window adding the potted plant as Areca Palm. In conclusion, solar irradiance at the back of plants were so much lower than the front of plants. And indoor air temperature at the back of plants was 26℃ at the noon but it at the front of plants was 32℃. And indoor globe temperature at the back of plants was 27℃ at the noon but it at the front of plants was 38℃. And indoor humidity at back of plants was 62% at the noon but it at front of plants was 41%. Therefore, the indoor plants near by window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for thermal comfort and reduction of cooling load in the building.

한국어

실내 창가 측에 배치된 화분식물은 페리미터존의 일사 저감과 열쾌적 개선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한 영향은 창의 실외측에 설치된 식물보다는 덜 할 것이지만, 건물 외관을 저해하지 않고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에 따라 일반적으로 거주자는 피스릴리, 위핑피그, 아래카 야자와 같은 식물을 창가에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식물 배치가 냉방부하 및 열쾌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자료가 미흡하다. 본 연구는 창가 배치 아래카 야자가 여름철 남향의 실제 사무실에서 페리미터존에 일사 저감과 열쾌적 개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의 실제 사무실에서, 창문을 투과한 것, 창문과 위 창가 식물을 투과한 두 종류의 일사 스펙트럼, 일사량 및 실내의 건구온도, 흑구온도, 상대습도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정오 근처에 창가에 식물의 배치하였을 때 일사는 매우 저감되며, 식물 뒤 건구온도는 32℃로 식물 앞은 26℃로 나타났으며, 식물 뒤 흑구온도는 38℃로 식물 앞은 27℃로 나타났으며, 식물 뒤 상대습도는 41℃로 식물 앞은 62℃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창가에 배치된 실내식물은 열쾌적 개선과 냉방부하 저감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실험 및 분석 방법
  2.1 실험대상 식물 선정
  2.2 실험대상 사무실 선정
  2.3 일사스펙트럼 및 온습도 측정
 3. 측정결과 및 비교분석
  3.1 일사스펙트럼 특성
  3.2 창가 화분에 의한 실내 온습도 특성
  3.3 식물 투과 일사량 특성
  3.4 식물배치 부근의 열화상 온도
  3.5 창가식물과 블라인드의 냉방부하 저감 비교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영빈 Im, Young-Bin. 부경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공학박사
  • 정근주 Jung, Gun-Joo. 부경대학교 건축학부 조교수, 공학박사
  • 서민호 Seo, Min-Ho.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 오근숙 Oh, Geun-Sug.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