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광 불갑사 대웅전 좌향과 불상 좌향의 직교적 배치 - 풍수지리적 관점에서 -

원문정보

Crossing Position of Exposure of Main Temple of Young Kwang Bulgap-Sa and Exposure of Statue of the Buddha - From Geomatic Perspective -

김종원, 천득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studies crossing position of exposure of main temple of Bulgap-sa (temple) and exposure of Samjon Buddha enshrined in the main temple, from geomantic perspective. The reason to study it is threefold. First is the reason of installing door as exposure of main temple at the center, and reason of installing door in front and rear side as Samjon Buddha exposure at the center. Second is the symbol of mouse sculpture installed in two high pillars in front, and demon-face tower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idge of roof of main temple, among four high pillars built to sustain Buddhist altar in the main temple. Third is the fact that exposure of Palsang temple building located in the rear side with different height with the main temple has same direction with Samjon Buddha exposure. Therefore, for the questions not interpreted by theory, by using analysis method based on geomancy theory, it is sought whether it was related to not only Buddhist idea but also geomancy theory at the time of building exposure of main temple and Samjon Buddha. The result is that it is found being based on geomancy theory, which prevents wind, gains water, follows good luck and avoids bad luck. Hence, on beneath of proactive utilizution of geomancy theory, there lies the Buddhism’s Uijeongilyeo ideology, which stresses that neighboring environments are created by human thoughts, in terms of living environment.

한국어

본 논문은 영광 불갑사의 대웅전 좌향과, 대웅전 안에 봉안된 삼존불 좌향의 직교적 배치 형태를 대상으로, 풍수지리적 관점에서 연구 되어졌다. 이를 대상으로 연구를 하게 된 이유는 첫째 대웅전 건축 좌향을 중심으로 달아낸 문의 설치 이유와, 삼존불 좌향을 중심으로 전후면으로 달아낸 문의 설치 이유, 두 번째는 대웅전 내부 불단을 이루기 위해 세운 네 개의 고주 가운데, 전면한 두 고주에 장식물로 설치된 쥐 조각상과, 대웅전 용마루 중앙에 설치된 귀면보탑의 상징성이며, 세 번째는 대웅전과 서로 다른 높이로 뒷면에 위치한 팔상전 건물 좌향이 삼존불 좌향과 같은 방향을 이루고 있는 점 등이다. 사찰에서의 풍수지리설은 중국에서부터 선종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불갑사는 고려말 각진국사 주석 이후 선종 사찰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교리적 해석이 되지 않는 의문에 대하여, 풍수지리적 논리에 입각한 해석 방법을 통해 대웅전 좌향과 삼존불 좌향이 이루어 질 당시, 풍수지리설과 아울러 불교 사상과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결과는 바람을 막고, 물을 얻으며, 길함을 따르고 흉함을 피하려는 풍수논리에 의거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풍수이론을 적극 활용한 이면에는 삶의 주거조건에 있어서, 인간의 생각에 의해 주변 환경이 형성된다는 불교의 의정일여 사상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배경
  1.2 연구대상
 2. 佛甲寺의 主要伽藍配置形式
 3. 풍수지리적 관점에서 설계 된 대웅전의 양면적 기능
  3.1 대웅전의 건축구조
  3.2 殿主佛從의 大雄殿의 坐向
  3.3 佛主전從의 坐向法
 4. 대웅전 용마루 중앙의 귀면보탑과팔상전의 삼존좌향
  4.1 귀면보탑의 풍수지리적 해석
  4.2 팔상전에 대한 풍수지리적 해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종원 Kim, Jong-Won. 전남대학교 문화재학협동과정 박사과정
  • 천득염 Cheon, Deuk-Youm.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