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리의 가시성을 고려한 공간의 가시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Spatial Visibility Network Analysis Considering Visibility of Glass

권지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rstly analyze visibility characteristics considering visibility of building materials and secondly propose architectural planning directions accommodating the analyzed results. The analyses of visibility network measures such as Degree,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Eccentricity, Clique Number, Number of Cliques and Clustering Coefficient clarified that the use of glass affected spatial characteristics as followed: (1) to enlarge the extent of visual exposure in space, (2) to moderate the concentration of visual control, (3) to reinforce the effect of visual integration, (4) to strengthen visual connection of component spaces, (5) to extend scales and their crossing chances of visually identified communities, and (6) to decrease the variation of visual information linked to user circulation. The proposed analyses and the found visibility characteristics are to provide objective validity of architectural planning processes, especially in glass-partitioned spaces, considering extents of visually recognized spaces, security & natural surveillance of spaces, allocation of visually integrated spaces, user circulation patterns, visual space zoning and pedestrian surveillanc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재료의 가시성을 고려한 가시특성을 분석하고 둘째, 분석된 결과를 수용하는 건축계획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결도, 연결 중앙성, 관계 중앙성, 인접 중앙성, 이심률, 결속군 크기, 결속군 수 및 결집계수와 같은 가시 네트워크 지표의 분석은 유리의 이용이 공간특성에 다음 같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규명하였다: (1) 공간에서 시각적 노출의 범위를 확대한다, (2) 시각적 통제의 집중을 완화한다, (3) 시각적 통합효과를 강화한다, (4) 요소 공간의 시각적 연계를 강화한다, (5) 시각 공동체의 규모와 교차 가능성을 확대한다, 그리고 (6) 이용자 순환에 따른 시각정보의 변화를 감소한다. 수행된 분석과 규명된 가시특성은 특히 유리로 구획된 공간에서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공간의 범위, 공간의 보안 및 자연적 감시, 시각적으로 통합된 공간의 배치, 이용자 순환 패턴, 시각적 공간 조닝 및 보행자 감시를 고려하는 건축계획과정의 객관적 타당성을 제공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방법 및 범위
 2. 이론적 고찰
  2.1 기존 공간분석 이론에서 가시성의 적용 범위
  2.2 가시성 재료를 통과하는 가시선의 가중치
  2.3 가시 네트워크 분석
 3. 가중치를 고려한 가시 네트워크 분석기법 도출
  3.1 유리를 통과하는 가시선의 가중치 도출
  3.2 가시 네트워크 분석기법의 구현
 4. 가시 네트워크에 의한 가시특성 분석
  4.1 가시 네트워크의 연결도 분석
  4.2 가시 네트워크 지표 분석
  4.3 유리를 고려한 공간의 가시특성과 건축계획의 활용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권지훈 Kweon, Ji-Hoon. 계명대학교 건축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