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6.2 지방선거에 나타난 TV토론 포맷에 관한 연구 : 광역단체장과 교육감 후보 TV토론회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V debates' format of Local Election : Vast area Mayor and superintendent of educational affair election

정성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rmat and agenda of discussion and the role of master of ceremonies(mc) during the vast area mayor and superintendent of educational affair election, which took place in June 2 this year. Reviewing the format of discussion, it was composed of such process as opening announcements, individual questions, interactive discussion, and wrap-up statements. Among them, interactive discussion was most popular and significant. This implies that interactive discuss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informing the agendas and candidates themselves to voters, so many discussion was varied especially in competition was excessive. In this respect, most striking change seems to be interactive discussion because many candidates was able to discuss each other very freely as well as strongly. The way of discussion was typically composed of the introduction of candidate by mc, seconds of opening remarks, common questions about major issues, interactive discussion, and wrap-up statements. In addition, one minute-opening announcements, 30 seconds-mc's questions, around 60 to 90 seconds-answers, five to ten minutes-interactive discussion chairing by a candidate himself or herself, and less than 2 minutes-Q&A. A MC was mostly professors, and announcers or journalists which worked in broadcast stations. The problems was the role of MCs was limited because they stick to technical time limit or correct the candidate's remarks if the agenda was beyond the scope or unsuitable. Therefore, a MC was not able to add questions when the discussion or reply of the candidate was not good enough. Meanwhile, agenda-setting was prepared which was gathered from the public and member of the commission by the Election Broadcasting Discussion Commission in advance but most agendas seem not in-depth. In addition, it is noteworthy that the agendas for small unit of local election was mostly gathered from the broadcast stations.

한국어

TV토론이 국내에 처음 도입된 것은 지방선거 때 부터였다. 10년을 넘게 시행착오를 거듭하고 있지만 아직도 형식적인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살펴보고 바람직한 토론의 방향을 찾고자 한다. 6.2 지방선거에서 광역단체장과 교육감 선거에서 실시된 광역단체장 초청 16회, 비초청 5회 총21회가 개최 되었다. 이중 대구시장과 경기지사는 초청, 비초청 합동으로 TV토론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교육감은 총 19회로 초청 16회와 비초청 3회의 TV토론이 이루어졌다. 이들 지방선거에 나타난 광역단체장과 교육감 선거의 TV토론을 대상으로 토론형식, 토론의제 및 사회자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토론형식은 오프닝, 개별질문, 상호토론, 마무리 발언의 순으로 진행하고 있다. 약간의 변화는 지역별로 편차는 있지만 상호토론에서 주도권을 가지고 자유토론 하는 형식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예는 각 후보 간에 치열한 경합이 있는 선거구에서는 다소 형식에 있어 변화를 주고자 노력한 흔적이 있다. 주요 변화는 후보자간 주도권을 쥐고 자유롭게 토론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주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자는 대부분 교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는 방송사 아나운서나 방송사 등의 언론인 출신이 맡고 있다. 이들의 역할은 단순 안내정도에 그치는 형편이다. 다만 토론시간을 초과하거나 내용이 주제를 벗어나는 등 문제가 발생 시 안내하는 정도였다. 후보자에 대한 답변이 여의치 않을 시 추가 질문 등의 역할은 할 수 없는 기계적 구성이었다. 6.2 지방선거의 의제 설정은 지역의 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의제설정위원회를 구성하여 사전에 준비하고 있으나, 보다 심도 있는 구성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형식적 절차 즉 일반시민조사와 위원의 의제 추천 등으로 의제를 모집하여 이를 소위에서 심의하여 결정하는 상태이다. 기초자치단체장선거의 의제는 방송국 차원에서 선정하여 실시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연구방법 및 연구문제
 Ⅱ. 이론적 논의
  1. 미디어정치시대 TV토론
  2. TV토론 운영을 위한 형식 및 내용에 관한 쟁점
 Ⅲ. 지역별 후보토론회 진행방식 사례분석 및 평가
  1. 6.2지방선거 TV토론의 개최 현황
  2. 6.2지방선거와 TV토론
  3. 6.2 지방선거 TV토론 평가
 Ⅳ.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성호 Seongho Cheong. 동명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