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Special Issue

Bridging the Community Divide in Koreatown Politics

원문정보

분리된 한인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코리아타운의 정치

Angie Y. Chung

재외한인학회 재외한인연구 제21호 2010.02 pp.242-28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though theorists have come to recognize the continuing significance of ethnic political solidarity for Black and Latino group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hat have analyzed how post‐1965 Asian immigrant communities are able to sustain ethnic political solidarity amidst increasing generational cleavages, class polarization, and residential mobility. The main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explore how 1.5/ 2nd generation ethnic organizations are able to strengthen their political power in the period after the 1992 Los Angeles Civil Unrest, despite the out‐migration of Korean Americans from Koreatown. In the case of Los Angeles, Korean Americans have clearly suburbanized into outlying suburban neighborhoods such as Glendale, Torrance, Fullerton, and Cerritos, even as businesses and institutions continue to expand in the multicultural Koreatown enclave.The general premise of my argument is that the institutional growth of Koreatown has enabled community‐based organizations to coordinate their services, share resources, and instantly band together in response to urgent events. Based on five years of ethnographic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community leaders and other Koreatown affiliates, the
paper focuses on four contextual factor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political emergence of 1.5/ 2nd generation organizations in Koreatown, including: 1) the growing need for organizations to concentrate their political base in the face of electoral fragmentation; 2) the heightened political consciousness of Korean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after the 1992 Los Angeles Civil Unrest; 3) the substantial economic development and gentrification of Koreatown in the post‐Riot era; 4)
and the political strategies of community‐dependent Korean American organizations that work closely with local immigrant leaders and their multiracial population base.

한국어

학계에서는 흑인과 라틴계열의 정치결속의 중요성은 인지하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1965년 이후의 아시아계이민사회가 세대 간 갈등, 계층 양극화, 주거이동성의 증가속에서 어떻게 정치적 결속을 유지할 수 있는지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 연구의 주목적은 1992년 LA폭동 이후에 재미한인들이 코리아타운 밖으로 이주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이민 1.5/2세대 한인 기관들을 정치권력으로 키울수 있었는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로스엔젤레스의 경우에 재미 한인들은 자신들의 기업들과 단체들을 다문화적 코리
아타운에서 확장시키면서도 글렌데일(Glendale), 토렌스(Torrance), 풀러톤(Fullerton), 세리토스(Cerritos)와 같은 외진 교외지역으로 주거지역을 옮겨 나갔다. 이 연구의 일반적 전제는 코리아타운 전체적인 성장이 지역사회 기관으로 하여금 서비스를 통합하고, 자원을 공유하고, 긴급한 상황에 즉각적으로 단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5년간의 인종학적 관찰과 코리아타운의 단체장 및 그 회원들의 심층 인터뷰에 근거하여 이민1.5/2세대 코리아타운 지역단체들의 정치적인 출현에 기여해 온 다음의 4개의 요소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1) 선거구의 분리에 직면하여 한인의 정치 기반을 집중시킬 수 있는 단체들의 필요성 증대, 2) 1992년 로스엔젤레스 폭동 이후 한인 이민자들과 그들 자녀들의 높아진 정치의식, 3) 폭동 이후의 대폭적인 경제적 성장과 코리아타운의 고급주택화, 4) 지역 이민자 대표와 다문화적 인구 구성 기반을 동반하여 일해 온 지역사회 의존적 한국계 미국인 단체들의 정치 전략.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II. The Making of Koreatown
 III. Political Benefits of Institutional clustering
 IV. Political Consciousness in the Post‐riot Era
 V. The Growing Koreatown Empire
 VI. Geographically-entrenched Ethnic Organizations
 VII. Summary and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저자정보

  • Angie Y. Chung 앤지정. Department of Sociology University at Alban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