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Special Issue

“Uhmma Mak Dae Gi”: Parenting Styles and Intergenerational Sexual Socialization Among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s

원문정보

“엄마 막대기”: 재미 이민 일세대의 자녀 양육 방식과 제2세대 자녀의 성(性) 사회화의 상관관계 연구

Hyojoung Kim, June H. Sun

재외한인학회 재외한인연구 제21호 2010.02 pp.191-24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an increase in adolescent pregnancy, premarital sex is becoming an issue of concern to parents, educators, policy makers and society. Due to their cultural background and values, Korean American parents have a more difficult time discussing the issue than their American counterparts. As a result, conversations do not take place until it is too late, sometimes followed by unwanted and unexpected pregnancies.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effects of intergenerational conversation styles on sexual socialization among college ‐aged second‐generation Korean Americans, while focusing on the respondent’s opinion formation about
sexual intercourse with significant others and one‐night stands (casual sex partners) and their actual sex behaviors. An analysis of 199 college students of Korean ancestry in the Los Angeles area reveal that parental conversation styles are as effective as the content of conversation in shaping the respondent’s opinion and behavior. It also shows that different conversation styles
have different effects across different types of sex activities.

한국어

미국에서 나날이 증가하는 청소년 임신 사례는 부모, 교육자, 정책 입안자 및 전 사회에 청소년 혼전 성관계 문제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화적 배경과 가치관의 차이로 인하여 재미 한인 제1세대는 이러한 문제를 자녀들과 허심탄회하게 의논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재미 한인 제1세대와 제2세대 간의 대화는 혼전 성관계에 따른 제반 문제가 발생한 이후에나 이루어지는 형편이다. 이에 본 논문은 재미 한인 이민 1세대 어머니의 자녀 양육 방식이, 제2세대 자녀들이 지니고 있는 연인 관계 이성과의 성 행위 및 낮선 이성과의 일회성 성 행위에 대한 생각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에 참가한 199명의 로스앤젤레스 지역 소재 한인 대학생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는, 제2세대 자녀의성 의식 및 행동은 세대 간 대화를 통해 전이되는 부모의 가치관 내용 (content)만이 아니라, 세대 간 대화 방식(conversation styles)에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음을 경험적으
로 밝힌다. 또한, 한 형태의 대화 방식이 만병 통치약인양 모든 경우에 통용되는 것이 아니라, 혼전 성 관계의 유형에 따라 다른 형태의 대화 방식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 줌으로써, 상이한 문화와 가치관이 혼재하는 이민 가정에서 제2세대 자녀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성 교육을 위한 자녀 양육 방식을 제시한다.

목차

Abstract
 Ⅰ. Research Question
 Ⅱ. Research Hypothesis
 Ⅲ. The Data
 Ⅳ. Measurement of Key Variables
  1. The Dependent Variables
  2. Key Independent Variables
  3. Other Control Variables
 Ⅴ. The Findings
  1. Respondents’Characteristics (Findings about Control Variables)
  2. Findings about Key Variables
  3. Conversation Styles/Sexual Socialization, and Premarital Sex with Significant Others
  4. Conversational Styles/Sexual Socialization and Casual Sex with One‐Night Stands
 Ⅵ.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저자정보

  • Hyojoung Kim 김효정. Department of Sociology California State University, Los Angeles
  • June H. Sun 준선. Department of Sociology University of Notre Dame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