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당뇨병 대상자에게 실시한 사례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 중규모 사업장 근로자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Effects of Case Management Program for Diabetic Patients - Focused on Medium-sized Industrial Workers -

황현정, 정혜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is paper studies the influence of the case-management program on the change of blood sugar, lifestyle, and knowledge level of diabetes mellitus (DM) for medium-sized- enterprise employees suffering from DM. Method: Subjects,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re 59 workers with FBS higher than 126mg/㎗ or under DM medication treatment in the medium-sized enterprises, being managed by two distinct university hospital group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service teams. The case management program for DM patients consists of 6 different processes in which each subject is treated. Result: FBS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program, while that of the contro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amount of smoking, the frequency of drinking and the amount of drinking per week decreased. Also, the knowledge level for DM and the change of nutrition management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 the amount of smoking increased and the frequency of drinking, the amount of drinking and nutrition level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nd the knowledge level for DM decreased. Conclusion: We expect that taking this case management program for DM management may significantly improve diabetic patients' overall health.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중규모 사업장에 근무하는 근로자 중 당뇨병 대상자에게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혈당, 생활습관 및 당뇨병에 대한 지식수준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방법 : 연구 대상자는 두 대학병원 보건관리대행팀에서 관리하는 중규모 사업장에 근무하는 근로자 중 공복 시 혈당이 126mg/㎗ 이상이거나 당뇨병 약물치료 중인 자로 실험군 29명, 대조군 30명으로 총 59명이었다. 당뇨병 대상자에 대한 사례관리 프로그램은 총 6회로 진행하였다. 결과 : 공복시 혈당은 사례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에서는 감소하였으나, 대조군에서는 공복 시 혈당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실험군에서 흡연량, 음주횟수, 주당 음주량은 감소하였으며, 영양관리 수준과 당뇨병 관리에 대한 지식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대조군에서는 흡연량은 증가하였고, 음주횟수, 음주량에서 큰 차이는 없었으며, 영양관리 수준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 당뇨병 관리에 대한 지식수준은 감소하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 당뇨병 사례관리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
  3. 측정 도구
  4. 사례관리 프로그램 진행절차 및 중재방법
  5.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특성
  2. 사례관리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현정 Hwang, Hyun-Jung. 인하대학교 산업의학과
  • 정혜선 Jung, Hye-Sun.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